이달 초부터 이어진 집중호우로 대구경북 곳곳에 비 피해가 잇따랐다.
특히 대구에서는 7~9일 사이 많은 곳은 300㎜가 넘는 강수량을 보이면서 주택가와 지하 주차장 등이 물에 잠겼고, 농경지도 침수 피해를 입었다.
경북의 경우 공공'사유시설, 농작물 등 피해가 누적되고 제5호 태풍 장미도 북상하고 있어 경북도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9일 대구기상청에 따르면 호우경보가 내려진 지난 7일부터 이날 오전 9시까지 대구의 누적강수량(동구 효목동)은 253.4㎜로 집계됐다. 지역에 따라 더 많은 비가 쏟아진 곳도 있다. 사흘간 서구 평리동은 317.5㎜, 북구 침산동은 301㎜, 달성군 화원읍은 299.5㎜ 등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9일 오후 현재 신천대로·신천동로 등 도로와 하천 주차장, 등산로 등도 통제됐다.
7~9일(정오 기준) 대구소방안전본부 출동 건수는 모두 216건이었다. 안전조치가 135건으로 가장 많았고, 배수 지원 78건, 인명구조 3건 등이었다.
8일 오전 0시 52분쯤 서구 비산동 주택가 일대가 물에 잠겼고, 같은 날 오전 10시 14분쯤에는 서구 내당동의 지하 1층 교회가 침수 피해를 입었다. 또 이날 오후 4시쯤엔 수성구 범어동의 주택가 담장이 무너지기도 했다.
달성군과 수성구, 동구 등의 농경지 6곳의 32㏊도 물에 잠겼다. 달성군 현풍면 일대 논 29㏊가 침수됐고, 열무 및 배추 등 채소와 과수 밭 등도 비 피해를 입었다.
불어난 물에 신천대로와 신천동로 일부 구간이 한때 통제되기도 했다. 동촌유원지 내 금호강 인접 도로 550m도 8일 오후 6시 40분부터 이튿날 오전 3시까지 통행이 금지됐다.
신천과 금호강, 낙동강, 욱수천 등 하천 주차장 15곳과 팔공산·앞산공원 등산로 등도 통제 조치가 내려졌다.
경북지역의 경우 지난 2일 이후 평균 170.9㎜의 비가 내렸다. 누적 강수량은 성주 288.5, 고령 261.1, 김천 259.0㎜ 순이다. 성주 수륜면 강수량은 373.0㎜로 가장 많았다. 특히 7~9일 사흘간 성주 245.6, 김천 245.4, 고령 242.2㎜의 비가 집중됐다.
이 비로 김천시 부곡동 경부선 지하도가 한때 전면 통제됐다. 구미시 신평동 덕산교도 차량 통행이 금지됐다. 경산시 와촌면 시천리 청통천하교는 침수 우려로 여전히 통제 중이며 경주시 서악동 서천교 밑 주차장도 전면 통제됐다. 이처럼 총 6개 시군에서 20곳이 통제됐다가 해제됐고 4개소는 여전히 통제 중이다.
주민대피도 잇따랐다.
8일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길안천에서는 여성 1명이 승용차를 탄 채 떠내려오다 둑에 걸려 1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김천시는 황금동 등 산사태 위험지역 주민 17가구 33명을 대피시킨 상태다. 성주군 선남면에서는 한 주택이 침수돼 주민 2명이 마을회관으로 대피했다 귀가했다. 군위군의 경우 8일 산성면에서 홀로 사는 주민 집 마당 축대가 무너져 마을회관으로 대피하기도 했다. 도내에서 총 31가구 53명이 대피한 가운데 여전히 27가구 46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공공시설 피해도 속속 집계되고 있다.
군위읍 대흥리에서 도로 옆 사면이 붕괴되는 등 도내 도로 8곳이 피해를 입어 7곳은 응급복구를 완료했지만 1곳은 복구 중이다. 봉화군 봉성면 봉양리 토일천 제방 155m가 유실돼 복구 작업을 벌이는 등 하천 4곳이 피해를 봤다. 상주시 낙동면에서는 신오리 음오지 제방 토사가 일부 유실돼 행정당국이 응급 복구했다. 또 도내 74개소에서 소규모 산사태 피해가 발생했다.
사유시설 피해도 보고됐다. 청도군 이서면 대곡리에서는 토사 유실로 감밭 4천㎡, 묘지 2기가 피해를 봤다. 칠곡군 지천면 금호리에서는 보강토 옹벽 붕괴로 삼양산업 공장 1동이 침수 피해를 봤다. 아울러 10개 시군에 걸쳐 농작물 167.6ha가 침수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