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교부, 주한 이란대사 초치(불러들임)…'한국 선박 억류' 해제 요청

유조선 억류 관련 초치된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이란대사가 5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만난 뒤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유조선 억류 관련 초치된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이란대사가 5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만난 뒤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외교부가 이란의 한국 선박 억류에 대해 5일 주한 이란대사를 초치해 항의하고 조기에 억류를 해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초치란 사전적인 의미는 '불러 들인다'는 뜻으로 외교적으로 쓰일 땐 외교 사안을 이유로 자국에 주제하는 각 나라의 대사 등을 불러 들이는 행위를 의미한다.

고경석 아프리카중동국장은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로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 이란대사를 불러 들여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선박 '한국케미호' 억류에 관해 유감을 표명했다.

앞서 한국 국적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는 4일(현지시간) 오전 10시쯤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됐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유조선이 환경오염을 일으켰다"고 나포 이유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선박에는 한국 선원 5명을 비롯해 미얀마인 11명, 인도네시아인 2명, 베트남인 2명 등 모두 20명이 승선했다.

샤베스타리 대사는 외교부 청사에 들어서면서 '선원들은 안전하냐'는 취재진 질문에 "모두 안전하다"며 "(그들의) 건강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그는 억류 이유와 억류 해제 시점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았다.

한편, 청해부대 최영함(4천400t급)은 이날 새벽(한국시간)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해 임무 수행에 돌입했다.

최영함은 바레인에 있는 연합해군사령부(CMF)를 비롯해 외교부와 해양수산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