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도체 수출액 사상 두 번째로 1천억 달러 뚫을까…정부, 처음으로 반도체 전망치 발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4일 경기도 평택사업장을 방문해 EUV 전용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4일 경기도 평택사업장을 방문해 EUV 전용라인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전세계적인 반도체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정부가 올해 국내 반도체 수출액이 사상 두 번째로 1천 억 달러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반도체협회는 5일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작년 대비 8~10% 증가하고 메모리 시장은 13~20%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반도체 수출이 작년보다 10.2% 오른 1천75억~1천110억 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가 반도체 수출 전망을 별도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도체 수출액이 1천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었던 2018년(1천267억 달러) 이후 역대 두 번째다.

산업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서버, 5G(5세대), PC·스마트폰, 모바일 등의 분야에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라며 "반도체 수출액이 1천억 달러를 넘어서면 한국이 미국에 이어 반도체 수출국 2위가 될 것으로 보이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세계 권위 있는 연구기관의 데이터와 자체 분석을 통해 전망치를 내놨다고 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 가트너는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8~10% 증가하고, 메모리 시장은 13~2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5G 시장 확대와 비대면 경제 확산 지속 등으로 모바일(40%), 서버(35%), PC(13%) 등 전방산업에서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투자도 반도체 시황 개선에 따라 전년 대비 4% 증가한 720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설비투자액은 올해 4.1%, 내년에는 6.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부는 이번 전망치를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의 재편을 통해 체질 개선을 병행할 계획이다. 지난해의 경우 국내 반도체 수출은 전년보다 5.6% 증가한 992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303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철강·석유제품을 넘어서 5위(작년 7위) 수출품목으로 뛰었다. 올해도 시스템반도체는 파운드리 위탁 수요 증가 등 5.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올해도 반도체가 수출·투자 등 우리 경제의 활력 회복과 수출을 견인하고, 한국형 뉴딜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이끄는 견인차 구실을 할 것이다"라며 "메모리 초격차 유지, 시스템반도체의 자생적 생태계 조성을 통해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