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부족 사태에도 자동차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25%는 친환경차(하이브리드) 차지였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 '5월 자동차 산업 월간 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차량 생산은 10.9%, 수출은 57.5% 각각 증가했다.
생산은 반도체 수급 차질에 따라 일부 공장이 휴업했음에도 25만6천272대를 생산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4월의 32만3천644대보다는 20.8% 감소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누적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52.2% 증가했다. 세계 10대 자동차 생산국 중 지난해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던 중국(54.0%)과 인도(59.9%) 다음으로 생산 증가율이 높았다.
지난달 수출은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에다, 소형SUV 주력모델의 판매 호조로 15만894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출액은 34억9천만달러로 2배(93.7%) 가까이 증가했다. 친환경차와 프리미엄 브랜드, SUV 등 고부가가치 차종의 수출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내수는 신차 효과 등으로 15만1천699대가 팔렸지만, 지난해보다는 10% 이상 감소했다. 코로나19가 한참이던 작년 5월 일시적인 판매 증가로 '역기저 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친환경차만 놓고 보면 내수는 56.5% 증가한 2만6천983대, 수출은 36.5% 증가한 2만7천607대로 각각 5개월 연속 늘었다.
친환경차 수출 대수 비중은 전체 19.0%였다. 수출액은 하이브리드차가 큰 폭(221.7%)으로 증가해 8억7천만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액의 25%를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딱풀 공문" 공수처 관저 출입 공문 위조 의혹…공수처 "위조 NO"
권영세 "尹 체포, 대한민국 법치주의 흑역사로 기록될 것"
"나훈아 78세, 비열한 노인"…문화평론가 김갑수, 작심 비판
尹 대통령 육필 편지 공개…"비상계엄은 헌법 수호 위한 것" [영상]
"중국 공산당 100주년 행사에 왜 민주당 기가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