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시의 일방적인 통합 추진 결사 반대"…예천지역 범군민적 반대 움직임

통합 시 소도시 쇠퇴 우려, 예산 감소 등 부정적인 측면 多
통합반추위, "안동시가 통합 추진 중단할때까지 범군민 반대 운동 전개할 것"

김학동 예천군수가 13일 오후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반대 범군민 결의대회에 참석해 반대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김학동 예천군수가 13일 오후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반대 범군민 결의대회에 참석해 반대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안동·예천 행정구역 통합을 두고 예천지역에서 범군민적인 통합 반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안동시의 일방적인 행정구역 통합 추진에 대한 예천군민들이 반감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13일 오후 예천군과 예천·안동 행정구역통합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정상진·이하 통합반추위)는 안동시의 일방적인 행정구역 통합 추진으로 생긴 주민들 간 분열과 갈등을 멈추고 통합의 불필요성을 설명하고자 범군민 결의대회 및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역대 예천군수 및 전직 공무원, 지역 단체 회원 등 반대 주민 200여 명으로 구성된 통합반추위 회원들과 예천군 현직 공무원 및 주민 1천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통합반추위는 반대 설명회를 통해 행정구역 통합을 불가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통합반추위는 "대도시의 흡수 통합된 소도시는 쇠퇴할 수밖에 없고 균형 발전을 망친다"며 "구미시에 통합된 선산군, 영주시에 통합된 영풍군, 포항시에 통합된 영일군만 봐도 소도시는 쇠퇴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도시 흡수를 통한 통합 시 대부분 기관이 큰 도시로 통폐합됨은 물론 근무하는 직원 감축, 큰 도시 출신의 선출직 독차지, 큰 도시로 예산이 집중되는 등 소도시의 패싱과 쇠퇴는 불을 보듯 뻔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거대한 면적의 기형적인 지자체, 예산 규모 감소에 대한 우려도 설명했다.

통합반추위는 "전국에서 이미 가장 넓은 지자체인 안동시가 예천군과 통합된 경우 2천183㎦ 면적의 거대 도시가 생겨나고 서울시의 3.6배, 제주도에 1.2배에 달한다"며 "36개 읍·면행정복지센터, 880개 통·리가 생기고 인구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인해 정상적인 행정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예산 규모 감소에 대해서는 "통합 창원시의 경우 통합 전 2009년 창원시 9천733억원, 마산시 9천85억원, 진해시 3천3억원으로 총 2조1천821억원이었는데, 통합 창원시가 되고 2023년 예산은 3조6천998억원"이라며 "2009년 각 예산규모가 비슷했던 진주시(8천84억원)·포항시(9천410억원)·통영시(3천852억원)는 총 2조1천346억원에서 2023년 총 5조3천590억원이 된 것과 비교하면 창원시는 사실상 2조 가까운 예산이 줄어든 셈"이라고 했다.

이후 통합반추위는 결의대회를 통해 ▷안동시가 일방적이고 비민주적으로 추진하는 행정통합 추진 규탄 ▷경북도청 공동 유치의 취지인 안동시의 신도시 상생발전 매진 ▷신도시 주민들이 겪는 불편 해소를 위한 안동시의 진정성 있는 행정 ▷군민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통합 추진 중지를 목표로 범군민 반대 운동 전개 등 통합 반대에 대한 입장을 대·내외에 선포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안동이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성도 합리적이지 않고 통합하면 부정적인 면이 많은데 안동시에서 양 도시의 갈등을 유발하는 통합 추진을 왜 추진하는지 모르겠다"고 반대하는 입장을 내비췄다.

최병욱 예천군의회 의장이 13일 오후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반대 범군민 결의대회에 참석해 의회의 입장을 설명하며 반대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최병욱 예천군의회 의장이 13일 오후 예천·안동 행정구역 통합반대 범군민 결의대회에 참석해 의회의 입장을 설명하며 반대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윤영민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