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강제징용 기부금 출연요청 오면 적극 검토할 것"

포스코, 6일 정부가 정한 방침에 따라 진행
일부에선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우리기업이 배상하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비판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는 한일청구권자금 수혜기업과 관련된 기부금 출연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해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한국기업의 기부금으로 판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을 6일 밝힘에 따른 것이다.

이날 포스코에 따르면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에 대한 기부금 출연 세부 계획은 정부출연금 요청 이후 발표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정부가 강제징용 피해배상 방식을 기부금 출연으로 하겠다는 방침을 이날 확정함에 따라 공식요청을 기다리고 있다.

앞서 포스코는 2012년 재단에 100억 원 출연을 약속했고, 이에 따라 2016년과 2017년 각각 30억 원씩 모두 60억 원을 출연했다.

남은 40억 원은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출연 요청을 받으면 적극 검토해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에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체결로 받은 5억 달러의 경제협력자금 가운데 24%에 해당하는 1억1천948만 달러가 투입됐다.

포스코 관계자는 "과거 청구권 자금 가운데서 지원받은 돈은 이미 다 상환했다. 하지만 기부금 출연은 10여 년 전부터 논의됐고 일부 진행이 이뤄졌다. 정부 방침에 따라 그간 보류된 40억 원의 출연금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하지만 포스코가 재단에 기부금을 낼 법적 의무가 없는 데다 일본 피고기업(일본제철·히로시마 미쓰비시 중공업·나고야 미쓰비시 근로정신대)의 배상참여가 없는 해법이어서 시민들 사이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포항의 한 상공인은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우리 기업이 마련한 재원으로 배상하는 것은 상식과 동떨어진 결정"이라며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와 배상 없는 이번 결정은 전범기업들에게 되레 면죄부를 주는 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