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 삼성전자와 연계된 '반도체 계약학과'가 신설된다.
DGIST는 삼성전자와 27일 학교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양 기관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계약학과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반도체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해 국가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려는 취지다.
이에 따라 DGIST는 학·석사 5년제 통합 과정으로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신입생을 선발해 내년 3월부터 계약학과를 본격 가동하게 된다. 내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3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학생들은 반도체 클린룸 실습 등 '현장 중심 교육'을 받게 되며, 반도체 설계와 소프트웨어(SW) 등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융합 수업도 병행한다.
인력 육성 상황에 따라 연장도 가능하다는 게 DGIST의 설명이다. 아울러 학위 수여자 중 장학생으로 선발돼 삼성전자에 채용된 학생은 반도체 공정 전문 인력으로 양성된다.
DGIST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등으로 국가의 반도체 관련 경쟁력 확보가 매우 중요한 시기인 만큼 반도체 핵심 인재 양성은 필수"라며 "특히 반도체는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일 뿐 아니라 AI, 자율 주행, 로봇과 같은 미래 산업을 이끌 미래 첨단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한 관계자는 "계약학과 학생들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등록금을 전액 부담하고, 소정의 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양 DGIST 총장은 "국내 최고 수준의 DGIST 반도체 연구 및 교육 인프라를 활용해 현장에서 반도체 기술 혁신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글로벌 반도체 전문가로 양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나아가 대구시와 DGIST가 반도체 설계부터 분석까지 진행 가능한 'D-FAB' 구축을 위해 협업하고 있는 만큼, DGIST의 반도체 전문가가 지역 내 경제와 신산업 창출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와 채용조건형 반도체 관련 학과를 신설해 운영하는 학교는 현재 성균관대, 연세대, 카이스트, 포스텍에 이어 DGIST, 광주과기원(GIST), 울산과기원(UNIST)까지 7개 학교로 늘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