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 10명 중 7명은 올해 지역 경제가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자를 제외한 만 18세 이상 국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자 중 71.2%가 지난해보다 지역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체감 경기 수준은 지난해의 82.5%에 불과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전년 대비 82.2%), 대구(81.4%), 제주(80.7%), 전남(80.5%), 부산(80.4%), 충북(79.8%), 전북(78.2%), 광주(77.8%)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조사 대상의 72.0%는 올해 지역 일자리가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체감 일자리 수준도 지난해 82.5%에 수준이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9.4%가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64.0%는 소멸 시기를 20년 이내로 예상했다.
역 소멸 가능성에 대한 응답은 지역별로 엇갈렸다.
대구, 경북, 전북, 울산, 전남, 강원은 지역이 소멸할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반면 부산, 제주, 대전, 충북, 경남, 충남, 광주, 세종에서는 지역 소멸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응답자도 41.1%로 집계됐다. 세대별로는 ▷20대(64.4%) ▷30대(41.7%) ▷40대(39.2%) ▷50대(36.1%) ▷60대 이상(28.3%) 순이었다.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주요 이유로는 열악한 일자리 여건(47.4%)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절반 수준이었고, 문화·휴식시설의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등도 꼽혔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며 "관광산업 활성화와 함께 지역의 성장동력 발굴이 필요할 때"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