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전원위 결과…국민의힘 "도농복합", 민주당 "소선거구제" 선호

김진표, "합의가능" 당부…與, 전국·병립형 비례대표제, 野는 권역별·(준)연동형 선호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 개편안(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회 전원위원회(전원위)가 10일 오후 국회에서 나흘간 개최돼 여야 의원들이 난상토론을 벌였다. 연합뉴스
내년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 개편안(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회 전원위원회(전원위)가 10일 오후 국회에서 나흘간 개최돼 여야 의원들이 난상토론을 벌였다. 연합뉴스

국회는 19일 전원위원회에서 논의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 방향에서 국민의힘은 도농복합 선거구제를, 더불어민주당은 소선거구제를 선호하는 비율이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9일 국회의장실은 지난 10∼13일 열린 전원위 논의 결과 분석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의장실이 토론에 나선 여야 의원 100명(민주 53명·국민의힘 38명·비교섭단체 9명) 발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은 도농복합선거구제(44.7%)를, 민주당은 소선거구제(39.6%)를 각각 선호했다.

비례대표 선출 방식으로는 국민의힘은 전국·병립형제(42.1%)를, 민주당은 권역별·(준)연동형제(56.6%)에 상대적으로 더 무게를 뒀다.

토론을 마친 여야는 전원위 소위원회 등을 구성해 선거제도 개편 합의안을 만들 계획이다.

전원위원회 질의·토론에서 나온 논의내용은 크게 5개 방향성, 9개의 결합요소로 구분됐다. 바람직한 선거제 개편의 방향은 비례성, 대표성, 다양성, 지역주의 완화 및 지방소멸 대응, 국민수용성 등으로 제시됐다.

선거제도 구성요소로는 소선거구제, 도농복합선거구제, (개방명부식) 대선거구제, 권역단위 비례제, 중복입후보제, 비례 축소, 비례 확대, 의원정수 확대, 의원정수 축소 등이 제안됐다.

김진표 국회의장도 이날 전원위 결산 보도자료를 통해 "지금까지는 토론의 시간이었고 이제 협상의 시간이 시작됐다"며 "전원위에서 나온 의원님들의 고견을 잘 수렴해서 늦어도 6월 안에 여야가 함께 합의할 수 있는 수정안을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초당적 정치개혁 의원모임도 이날 오후 국회 기자회견을 열고 "전원위에서 나온 안들을 정리하고 합의 가능한 안을 도출해내겠다"며 "정개특위에서는 공론조사 추진을 요청하고, 초당모임에서도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전문가 조사결과 발표 토론회를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을 대상으로 선거제도 개편을 공론화하고 5월 말, 늦어도 6월 중에는 선거제도 개혁 단일안을 도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는 이명수·최형두 국민의힘 의원, 전해철·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심상정·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참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