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4일(현지시간) 한일관계와 관련, "북한 핵이 고도화되고, 핵 투발 수단인 미사일 시험을 연일 해 나가는 마당에 한일관계 개선을 통한 안보 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국익과 국민에게 엄청난 피해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워싱턴D.C.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한일관계 정상화와 관련해 24일 보도된 윤석열 대통령의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 발언에 대한 대통령실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윤 대통령은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가진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일본에)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일관계 개선은 윤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부터 꾸준히 말씀을 하셨던 것"이라며 "특히 안보 협력이 긴요한 상황에서 '무릎을 꿇지 않으면 두 나라 관계 개선이 절대 안 된다', '두 나라가 아무 것도 안 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말씀"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 발언의 요지는 나라를 위해 한일관계 개선을 더는 늦출 수 없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어 "유럽에서도 참혹한 전쟁을 겪고도 미래를 위해 더는 지체하지 않고 전쟁 당사자들이 협력하고 있는 부분도 참고하면 좋을 것"이라며 "한일관계 정상화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있었던 1998년에도 있었다. 50년도 안 되는 불행한 역사 때문에 1천500년에 걸친 교류와 협력의 역사 전체를 무의미하게 만드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내용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했다.
또 26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이 의제에 포함될 것으로 보이느냐'는 질문엔 대통령실은 "우크라이나 문제가 주요 의제 중 하나로 포함될 것으로 보이지만 무기 지원 문제는 현재까지는 다루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대통령실 또 다른 관계자는 "글로벌 이슈를 얘기하면서 현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와 대화 문제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 관련해 양국이 어떤 입장을 가졌는지 그 부분에 대해선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다. 지금 시점에선 어느 나라 정상이든 그렇게 해야지 정상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탄약 제공 이슈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의 비살상 지원과 제재 및 수출통제 지원에 감사를 표하면서 현장의 군사적 상황에 대한 대화를 나눌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