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칼럼] 尹 정부 1년, 대구와 부산의 차이

이상준 사회부장

국회 본회의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의결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본회의에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의결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준 사회부장
이상준 사회부장

윤석열 정부가 이달 10일 출범 1주년을 맞았다. 매일신문을 비롯한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사는 윤 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균형발전을 위한 시도별 핵심 공약 상황을 점검 중이다.

대구의 최대 성과는 뭐니 뭐니 해도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대구경북신공항특별법 제정이다. 군 공항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업비 부족분을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민간 공항 및 군 공항 후적지 조성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조 단위 사업비를 투입하는 수성알파시티 디지털혁신거점 조성과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국가산업단지 유치 등도 성과로 꼽힌다.

지난 1년간 성과만 놓고 본다면 부산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 부산일보는 "윤 대통령 취임 이후 부산 현안들은 과거 어느 정부 때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추진'이 대표적이다. 윤 대통령은 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해 대통령실에 전담 기획관과 비서관 자리를 신설해 유치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겼다. 특정 지역의 이슈를 전담하는 대통령실 참모 조직이 만들어진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2030 엑스포 유치와 연계해 가덕신공항 건설, 북항 개발에도 속도가 붙었다. 국토교통부는 가덕신공항 개항 시점을 당초 2035년에서 2029년 12월로 6년 앞당겼다. 해양수산부는 엑스포 개최 예정 부지인 북항 2단계 사업에 국비 4조636억 원을 투입한다.

KDB산업은행(이하 산은)의 부산 이전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국토부가 산은을 '지방 이전 대상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면서 '부산'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대구로서는 지난 1년간 부산과 대구의 차이를 냉정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다. 정권 창출의 일등 공신으로, 국민의힘 본산을 자처하면서도 정작 실리를 잃고 있는 건 아닌지 말이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결국 '정치'로 귀결된다. 진보와 보수로 정권이 오가는 사이 역대 정부는 부산·경남(PK)의 표심에 매달렸다. PK는 선거 승패를 좌우하는 지역으로 여겨졌다.

이 과정에서 부산 정치권은 실리를 챙겼다. 지난 문재인 정부 때는 가덕신공항 특별법 통과를 이뤄냈다. 윤 정부는 엑스포 유치와 산은 이전을 대표적인 국정 과제 공약으로 반영했다.

반면 대구 정치권은 공약 발굴에도, 반영에도 무능력·무기력한 모습으로 일관했다. 일사불란도 모자라 치밀하고 집요하기까지 한 부산 정치권과는 딴판이었다.

앞으로 남은 윤석열 정부 4년, 대구는 신공항 특별법 통과에만 안주할 수 없다. 달빛철도 특별법 통과와 2038 아시안게임 유치, IBK기업은행 이전 등 대구의 미래를 좌우하는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현재 대구의 정치력으로 이 같은 난제들을 풀어갈 수 있을지 솔직히 의문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올 초 국민의힘 최고위원 선거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다음 총선에서 재선 이상 대구경북(TK) 의원들은 모두 물갈이를 해야 한다"고 했다. "TK 지역에서는 최근 인재를 키우지 못하고 눈치만 늘어가는 정치인들만 양산하고 국회의원다운 국회의원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홍 시장은 "중앙 정치에서는 힘도 못 쓰고 동네 국회의원이나 하려면 시의원, 구의원을 할 것이지 무엇하려고 국회의원 하느냐"고도 했다.

맞는 말이다. TK 정치력 회복에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 '전원 물갈이'가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