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7일 전국 일본뇌염 경보 발령…작년보다 4일 늦어

뇌염 진행될 경우 20~30% 사망할 수도

모기.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매일신문DB
모기.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매일신문DB

질병관리청이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올해 경보 발령일은 지난해(7월 23일)보다 4일 늦다.

질병청에 따르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지난 26일 부산에서 채집된 모기의 91.4%(1천115마리 중 1천56마리)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이는 경보 발령 기준 중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일 때'에 해당한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하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고 크기는 약 4.5mm다.

국내에서 매년 일본뇌염에 20명 정도가 감염된다. 감염자의 87%는 50대 이상이다.

대부분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인지장애, 마비·운동장애, 언어장애, 발작, 정신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질병청은 일본뇌염에는 효과적인 백신이 있는 만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인 2010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 거주자 ▷일본뇌염 위험국가(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접종이 권장된다.

일본뇌염 위험국가는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곧 일본뇌염 첫 환자가 발생할 시기이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