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올해 경보 발령일은 지난해(7월 23일)보다 4일 늦다.
질병청에 따르면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지난 26일 부산에서 채집된 모기의 91.4%(1천115마리 중 1천56마리)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이는 경보 발령 기준 중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 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 밀도의 50% 이상일 때'에 해당한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6월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하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고 크기는 약 4.5mm다.
국내에서 매년 일본뇌염에 20명 정도가 감염된다. 감염자의 87%는 50대 이상이다.
대부분 발열,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인지장애, 마비·운동장애, 언어장애, 발작, 정신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질병청은 일본뇌염에는 효과적인 백신이 있는 만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인 2010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은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논,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 거주자 ▷일본뇌염 위험국가(특히 농촌 지역)에서 30일 이상 체류할 예정인 경우에도 접종이 권장된다.
일본뇌염 위험국가는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곧 일본뇌염 첫 환자가 발생할 시기이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김상욱 "尹 탄핵 기각되면 죽을 때까지 단식"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이재명, '선거법 2심' 재판부에 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