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건설 경기에 먹구름이 끼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3분기 전국 건축물 인허가와 착공 면적이 모두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건축 인허가 후 착공까지 1년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도 건설 경기도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란 전망이 높다.
업계에선 현재 건설 경기 상태 진단 지표로 착공 실적을 분석하고, 준공은 경기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선행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31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전국 건축 인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인허가 및 착공 건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지표상으로도 경기가 좋지 않음을 시사했다.
자료에 따르면 우선 올해 3분기 전국 인허가 면적은 3천58만9천㎡로 전년 동기(4천553만3천㎡) 대비 32.8%나 감소했다. 이같은 현상은 주로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 등의 허가 면적이 동반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방의 인허가 면적이 1천535만6천㎡로 43.8% 감소했고, 수도권은 1천523만2천㎡로 16.3% 감소했다.
시도 기준으로는 ▷대전 82.5% ▷대구 72.4% ▷전북 63.9% ▷서울 30.6% ▷경기도 24.7%씩 감소하는 등 전국 대부분 지역이 감소했다. 다만, 인천과 광주는 각각 125.5%, 32.5% 증가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 42.6% ▷상업용 33.5% ▷공업용 30.2% ▷교육 및 사회용 19.5% ▷기타 19.1%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전국 인허가 동수도 23.8% 줄어든 3만7천242동으로 집계됐다. 올해 3분기 착공 면적도 전년 같은 기간보다 44.2% 줄어든 1천627만9천㎡를 기록했다. 주로 연립주택과 업무시설 착공 면적이 줄어들면서 이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지방의 착공 면적은 각각 50.7%, 38.4% 감소했다. 시도 별로 살펴보면 ▷충남(68.5%) ▷대전(67.5%) ▷제주(63.5%) ▷울산(60.3%) ▷경기(59.4%) ▷서울(4.2%) 등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광주(194.5%), 전남(6.1%), 경북(5.8%)은 착공 면적이 늘었다.
전국에서 올해 3분기 착공한 동수는 2만7천825동으로 23.2% 줄었다. 이 기간동안 준공 면적은 3천437만3천㎡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8.1% 늘었다. 3분기 전국 준공 동수는 19.0% 줄어든 3만2천541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면적이 증가하지만, 준공 동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은 건축물의 대형화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정 지지도 48.3%…50%선 '붕괴'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李대통령 "재정 적극적 역할 필요…씨앗 빌려서라도 농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