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옷 종류보다는 상황에 맞춰 코디 대세, 패션 'TPO' 검색 증가

T(시간)•P(장소)•O(상황)에 ‘룩' 붙인 키워드, 특정 상황과 장소에 어울리는 복장 찾는 패턴 증가
지그재그, "원피스 대신 '하객룩' 검색 등 성향 달라져" 
 ‘Y2K’, ‘올드머니' 등 유행하는 스타일도 키워드로 탐색

지그재그 내
지그재그 내 '하객룩', '휴양지룩' 검색 화면. 카카오스타일 제공

원피스, 수영복 등 옷 종류로 쇼핑을 하는 시대는 저물었다. 이제는 시간과 장소, 상황에 맞춘 패션스타일을 검색해 쇼핑하는 트렌드가 늘고 있다.

카카오스타일의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옷을 입는 장소와 상황 등 TPO(시간Time, 장소 Place, 상황 Occasion)에 따른 키워드를 검색하는 소비자가 늘고있다고 31일 밝혔다.

최근 3개월간(8월 1일~10월 29일) 'OO룩'의 대표적인 키워드인 '하객룩' 월 평균 검색량은 70만 건으로, 매 달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양지룩', '여행룩', '시밀러룩', '출근룩' 등 검색 키워드도 다양해졌으며, 각 키워드별 월 검색량 역시 모두 증가했다. 황금연휴가 있었던 10월 '휴양지룩'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하며 약 5만 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유행하는 스타일을 키워드로 탐색하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 2000년대 패션 스타일을 뜻하는 'Y2K' 월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1%(8월), 156%(9월), 48%(10월)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최근 3개월동안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패션으로 알려진 '올드머니'와 발레복을 일상복처럼 착용하는 '발레코어'도 각각 최대 월 3만 건, 8만 건이 검색됐다.

TPO를 검색하는 쇼핑 패턴이 확산되며 판매자들도 상품명에 'OO룩'을 언급하는 사례가 늘었다. 지그재그에서 '하객룩' 검색 시 11만 건 이상의 상품이 나올 정도다. 해당 상품들의 거래액도 증가하고 있다. 상품명으로 '하객룩'이 언급된 상품들의 최근 3개월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86%) 늘었으며, '휴양지룩'과 '여행룩'이 언급된 상품의 거래액도 각각 186%, 210% 증가했다. 특정 스타일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Y2K'가 들어간 상품들의 거래액은 5배 이상(459%), '발레코어'는 24배 이상(2324%) 급증했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브랜드별 매장 위주인 오프라인과 달리 '휴양지룩', '나들이룩' 등 콘셉트별 스타일을 둘러 볼 수 있는 온라인에서 TPO를 검색하는 패턴이 확산되고 있다"며 "약 1만 8천 곳의 스토어가 입점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지그재그에서는 특정 장소나 상황에 어울리면서도 자신의 취향을 표현할 수 있는 코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