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피스, 수영복 등 옷 종류로 쇼핑을 하는 시대는 저물었다. 이제는 시간과 장소, 상황에 맞춘 패션스타일을 검색해 쇼핑하는 트렌드가 늘고 있다.
카카오스타일의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옷을 입는 장소와 상황 등 TPO(시간Time, 장소 Place, 상황 Occasion)에 따른 키워드를 검색하는 소비자가 늘고있다고 31일 밝혔다.
최근 3개월간(8월 1일~10월 29일) 'OO룩'의 대표적인 키워드인 '하객룩' 월 평균 검색량은 70만 건으로, 매 달 전년 동기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양지룩', '여행룩', '시밀러룩', '출근룩' 등 검색 키워드도 다양해졌으며, 각 키워드별 월 검색량 역시 모두 증가했다. 황금연휴가 있었던 10월 '휴양지룩'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하며 약 5만 건을 기록하기도 했다.
유행하는 스타일을 키워드로 탐색하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 2000년대 패션 스타일을 뜻하는 'Y2K' 월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1%(8월), 156%(9월), 48%(10월)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최근 3개월동안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패션으로 알려진 '올드머니'와 발레복을 일상복처럼 착용하는 '발레코어'도 각각 최대 월 3만 건, 8만 건이 검색됐다.
TPO를 검색하는 쇼핑 패턴이 확산되며 판매자들도 상품명에 'OO룩'을 언급하는 사례가 늘었다. 지그재그에서 '하객룩' 검색 시 11만 건 이상의 상품이 나올 정도다. 해당 상품들의 거래액도 증가하고 있다. 상품명으로 '하객룩'이 언급된 상품들의 최근 3개월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86%) 늘었으며, '휴양지룩'과 '여행룩'이 언급된 상품의 거래액도 각각 186%, 210% 증가했다. 특정 스타일을 나타내는 키워드인 'Y2K'가 들어간 상품들의 거래액은 5배 이상(459%), '발레코어'는 24배 이상(2324%) 급증했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브랜드별 매장 위주인 오프라인과 달리 '휴양지룩', '나들이룩' 등 콘셉트별 스타일을 둘러 볼 수 있는 온라인에서 TPO를 검색하는 패턴이 확산되고 있다"며 "약 1만 8천 곳의 스토어가 입점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지그재그에서는 특정 장소나 상황에 어울리면서도 자신의 취향을 표현할 수 있는 코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