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창원시, 부·울·경 최초 수요응답형 서비스 '누비다 버스' 운영

'바로DRT' 앱 통해 시민이 직접 호출

수요응답형 서비스
수요응답형 서비스 '누비다 버스'. [사진=창원시]

경남 창원특례시는 오는 22일부터 부·울·경 최초로 도심지역에 수요응답형(DRT·Demand Responsive Transit) 서비스인 '누비다 버스'를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수요응답형 버스는 정해진 노선과 시간표에 맞춰 운행하는 기존 시내버스와 달리 시민 호출에 따라 수요에 맞게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를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규제 완화·법령개정을 통해 최근 전국적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사업이다.

누비다 버스 시범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ICT 규제 샌드박스 특례(도심지역 DRT 운행)를 지정받았다. 창원중앙역~중앙대로~창원병원 구역 내 54개 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11월 22일부터 내년 5월 21일까지 6개월간 플랫폼 사업자 ㈜스튜디오 갈릴레이와 동양교통, 신양여객이 소형 승합차 총 3대를 운행한다.

창원시는 창원대로, 원이대로, 창이대로 3개 교통축의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촘촘한 격자형 도시구조에 따라 그간 시내버스 운영에 어려움을 겪던 도심지역에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광역교통시설, 중심업무지역, 의료시설, 상업시설 간 대중교통 연계 환승 체계를 보완할 계획이다.

누비다 버스 시범사업과 함께 창원중앙역 순환버스의 시간표도 보완한다.

수요응답형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누비다 버스'를 검색한 뒤 '바로DRT' 앱을 설치하면 된다.

앱을 통해 호출 승객별 전용 좌석이 배정되고, 도착 예상시간과 버스 위치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요금은 기존 시내버스와 같이 운영되고, 시내버스로의 환승 혜택 역시 제공된다. 단, 누비다 버스를 탈 때는 현금이 아닌 교통카드를 이용해야만 한다.

제종남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수요응답형 서비스는 시내버스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로 시민이 부르면 직접 찾아가는 대중교통수단"이라며 "시민에게는 더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시와 버스업계에는 운영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