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두환 유해 안장 계획 무산…땅주인 "안 팔아"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사망했다. 향년 90세. 지병을 앓아온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숨졌다. 사진은 올해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나서는 전 전 대통령.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이 23일 사망했다. 향년 90세. 지병을 앓아온 전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4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숨졌다. 사진은 올해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나서는 전 전 대통령.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를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안장하려던 계획이 무산됐다. 파주 지역에서 반발이 일어난 가운데 토지(산) 매매 가계약 기간이 완료됐는데도 본계약이 체결되지 않자 토지주가 매매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전 씨가 안치될 것으로 알려진 사유지의 소유자는 연합뉴스를 통해 "가계약 기간이 이미 끝났는데 본계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매물을 거둬들였으며 앞으로도 팔 생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 땅의 소유자는 지난해 3월 지인들과 토지 매매를 위한 가계약을 맺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우리 산(6만6천㎡)을 캠핑장과 요양원으로 개발하고 싶다고 찾아와서 가계약했다"며 "올해 10월까지 관련 인허가를 마치고 본계약을 하기로 했었는데 성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해당 토지에 캠핑장과 요양원을 짓기 위해서는 군 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매수자 측에서 이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해 정식계약으로까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토지 소유자는 "우리 땅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장된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부담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부담감을 느낀 상황에서 가계약 기간마저 끝나자 매도 자체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년 이상 서울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전 씨의 유해는 당분간 안장이 어려울 전망이다.

전 씨는 회고록에서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고 유언을 남겼다. 이에 맞춰 유족은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휴전선과 가까운 파주 장산리 안장 계획이 알려지자, 파주 지역에서는 반발이 거셌다. 겨레 하나 파주지회 등 11개 시민단체는 지난달 30일 매장반대 기자회견을 통해 "(장산리뿐만 아니라) 파주 그 어디에도 학살자 전두환을 편히 잠들게 할 곳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파주시가 지역구인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민국 광주를 피로 물들이고 죽을 때까지 사과 한마디 없었던 폭군이 무슨 자격으로 파주에 오느냐"고 말했다.

21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서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 안장을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약 2년째 서울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파주 장산리의 한 사유지에 안장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21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서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 안장을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약 2년째 서울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파주 장산리의 한 사유지에 안장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