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는 6일 대구시의 합계 출산율이 0.67명으로 서울과 부산을 제외하면 전국에서 가장 저조한 수준임에도 출산장려정책이 타 시도에 비해 소극적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한 자녀 출산 시에는 중앙정부 지원금 정도만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황순자 대구시의원(달서구3)은 이날 대구시의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의 '2024년도 대구광역시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심사에서 김선조 대구시 행정부시장을 대상으로 이같이 지적했다.
황 시원은 대구시는 최근 조례를 개정해 다자녀 기준을 세 자녀에서 두 자녀로 개정했지만 대구 아이조아카드를 이용한 대구도시철도 이용료 지원사업은 세 자녀 가정을 대상으로만 하고, 특히 한 자녀를 대상으로 한 사업의 경우 보건복지부의 '첫만남이용권'(이용권)을 통해 200만원가량의 현금 바우처를 받는 수준의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용권 사업은 중앙정부 사업으로 전 지자체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한 자녀 출산 가정에 대한 대구시 지원은 사실상 없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황 의원은 대전시가 합계 출산율이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2021년 0.81명에서 2022년 0.84명으로 증가했음에도 양육기본수당을 추진 중이며, 경기도의 경우 일정 수준 이하 소득의 가정이 아이를 낳을 경우 4억원 이하 주택을 생애 최초 구입 시 취득세를 면제해 준다고 설명했다. 경기도의 합계 출산율은 올해 1분기 0.86명, 2분기 0.75명으로 대구시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에 황 의원은 "올해 세수결손으로 재정 상황이 어렵지만, 더 늦기 전에 출산 문제는 대대적인 정책 방향 전환 필요가 있다. 한 자녀라도 출산을 적극 권장해야 한다"며 출산을 한 공무원은 승진을 앞당기는 방안을 포함해 독창적인 '대구형 출산지원정책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부시장은 "저출산 대단히 심각한 상황이다. 두 자녀 출산 가정 (교통비) 지원은 재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시민이 낸 세금을 어떻게 배분할 건지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저희도 심사숙고해 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 대구시의회 예결위에서는 ▷대구시 저출산 문제 외에도 ▷국가로봇테스트필드조성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금호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전세사기 피해에 대한 대구시 지원 대책 ▷대구시 소상공인 지원 정책 ▷대구농수산물유통공사 설립 ▷대구 도심 내 군사시설 통합 이전 ▷도심융합특구 조성 ▷대구시 세수관리 등 사안에 대한 질의가 이뤄졌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