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미·일, 北 ICBM 도발 한 목소리 규탄…향후 대북 억제력 강화 전망

우리 정부 즉각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개최, 尹 "한미의 대북 핵 억제 실행력 더욱 강화하라"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한미 안보책임자와 공조 통화
기시다 일본 총리 "지역 평화·안정 위협 강력히 비난"

북한이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18일 오후 동대구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북한이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18일 오후 동대구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북한이 18일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자 한국·미국·일본이 한 목소리로 북한의 도발을 규탄했다. 한·미·일은 앞으로 북한에 대한 억제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날 오전 8시 24분쯤 북한 평양 근교에서 ICBM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ICBM 발사는 지난 7월 이후 5개월 만이다.

미사일은 고각궤도로 발사됐으며 직선거리로 약 1천㎞ 비행 후 동해상에 떨어졌다. 일본 방위성은 이 ICBM이 약 73분간 비행했으며 최고 고도는 6천㎞가 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비행시간과 최고고도, 비행거리 등이 모두 지난 7월 화성-18형 시험 발사 때와 비슷해 화성-18형을 다시 발사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ICBM을 정상 각도(30∼45도)로 발사하면 1만5천㎞ 이상 비행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권에 넣을 수 있는 사거리다.

북한의 도발 후 우리 정부는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리 영토와 국민에 대한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즉시 압도적으로 대응하라"로 지시했다.

이어 "국제사회와 적극 연대해 북한의 불법적인 핵·미사일 활동을 규탄하고 저지해 나가라"며 "한미 핵협의그룹(NCG)의 과제도 속도감 있게 추진해 한미의 대북 핵 억제 실행력을 더욱 강화하라"고 당부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 체계를 활용해 한미일의 공동대응을 적극 추진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한미일은 조만간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의 실시간 공유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미국과 일본도 북한의 도발을 강력 성토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북한의 도발징후 파악 후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일본의 아키바 다케오 국가안전보장국장과 공조 통화를 했다.

미 백악관은 "안보 실장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다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인 이번 시험을 규탄했다"면서 "설리번 보좌관은 한국과 일본의 방위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약속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북한의 ICBM 도발에 대해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것으로, 강력히 비난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미일의 북핵 대표들도 3자 통화를 하고 북한의 도발을 규탄했다.

한미일은 북한의 ICBM 발사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소집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러시아의 반대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우리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 북한의 도발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고 우려하며 우리 정부의 기민한 대처를 당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