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시, 기초자치단체 최초 산업재해 외래재활센터 유치

산재 근로자의 요양 초기부터 직장 복귀까지 전문 재활 프로세스 갖출 예정
명칭은 '구미의원' 유력... 구체적인 개원 날짜, 규모 등은 아직 안정해져

구미보건소 전경. 구미시 제공
구미보건소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는 기초자치단체로는 최초, 전국에서 네 번째로 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에서 직영하는 공공의료기관 외래재활센터 유치에 성공했다.

26일 구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2024년도 산업재해 근로자 전문 재활치료 외래재활센터 건립에 필요한 국비 30억을 확보했다. 확보된 국비는 외래재활센터 건립비, 장비비와 전문의 및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 30여 명의 인건비로 사용될 예정이다.

현재 구미에 건립될 외래재활센터의 명칭은 '구미 의원'이 유력하다. 위치나 규모, 개원 일자, 착공일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구미시가 사업 주체인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과 간담회를 열어 협의를 거친 후 구체적인 사안들을 확정할 계획이다.

구미시는 외래재활센터가 설립될 시 구미 시민과 경북권 산재 근로자들의 신체 회복, 직업 및 사회 복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질병의 업무 관련성 평가와 장해진단, 다양한 직장 복귀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업무 관련성 특진을 받기 위해 수 개월을 대기해야 하는 상황도 해소될 전망이다.

특히 구미시는 지난해 6월 개원해 연간 6천929명(일평균 68명)이 진료를 받는 부산의원(제3 외래재활센터)을 벤치마킹 해 다양한 산재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설립되는 구미 외래재활센터는 국가산업단지로 최초 지정된 구미시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의 산업재해 근로자들에게도 전문적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상징성이 크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수익성이 낮아 민간 병원에서 투자를 꺼려하는 재활서비스에 국비를 확보해 산재 근로자들에게 수준 높은 의료와 직장 복귀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돼 의미가 크다"며 "방산혁신클러스터,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으로 경제 활성화와 함께 근로자들의 건강까지 지원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