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반도체 선각자 박정희·이병철 있었기에 지금 세대 기회"

민생토론회 산업 투자 확대 강조
당시 국운 걸고 반도체 총력전…투자세액 공제 효력 연장 방침
R&D 예산 증액 의지 재차 밝혀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세 번째,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과 이병철 삼성그룹 초대 회장을 반도체 산업의 '선각자'로 평가하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총력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예산 삭감으로 우려가 제기된 연구개발(R&D) 예산의 증액 의지도 재차 밝혔다.

윤 대통령은 15일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에서 열린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민생토론회 마무리 발언에서 "박정희 대통령께서 돌아가시기 전 당시 서울시 1년 예산에 준하는 정도를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기로 하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 그 자금을 조성해 삼성 이병철 회장에게 반도체 사업을 시작하도록 밀어줬다"며 삼성이 반도체에 뛰어든 배경과 한국 반도체 산업의 역사를 소개했다.

이어 "이병철 회장은 당시 일본에서 고집적 회로가 칩으로 바뀌면서 미국으로부터 많은 물량을 수주받아 생산하는 것을 보고 '여기(반도체)에 우리가 한번 국운을 걸어야겠다'고 시작해 많은 부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삼성이 1983년 64K D램을 자체 개발했던 일과 1970년대 말∼1980년대 초 미국 등에서 유학한 인재들이 돌아와 후진을 양성하며 반도체 산업 성장에 기여했던 일 등을 두루 언급했다.

그러면서 "(초기에는) 미래세대에 어떤 기회를 창출해 줄지 얼마나 잘 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이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가 당시 미래세대에 얼마나 큰 기회의 문을 열어줬느냐. 반도체는 중산층과 서민의 민생을 살찌우고, 우리 미래세대에 새로운 기회를 계속 열어주는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누차 강조한 윤 대통령은 반도체 투자 세액 공제와 관련해 "법의 효력을 더 연장해서 앞으로 투자 세액 공제를 계속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기업 퍼주기' 이런 이야기들이 있지만, 이것은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며 세액 공제로 투자가 확대되면 반도체 관련 생태계와 기업의 수익과 일자리, 국가 세수가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참석자들에게 "올해 예산에 R&D(연구개발)를 줄여서 불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 걱정하지 말라"며 "어디에다가 돈을 더 투자해서 여러분이 마음껏 도전하고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지 저희가 연구를 많이 했다"고 말했다.

민생토론회 각계 참석자들도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밝혔다.

김경륜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상무는 "현장에서는 아직도 인력이 부족하다는 얘기가 많다. 뉴스에서는 인재들이 의대나 약대에 진학하는 일이 많다고 하고 공대에 진학하는 학생조차도 의대로 전향하는 일이 많다고 한다"며 "반도체를 공부하시는 많은 학생 여러분, 저희와 함께 세상을 바꾸는 데 동참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과의 유소영 사무관은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공장을 구축하고 있는 TSMC의 경우 24시간 3교대 근무제로 이른바 '불이 꺼지지 않는 공사장'으로 불릴 정도였다고 한다"며 "반도체과를 비롯해 우리 정부도 불이 꺼지지 않는 정부가 돼 우리 기업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