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교수와 갈등, 언어폭력 등으로 대학원생 5명 중 1명은 최근 1년 사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와 공감직업환경의학센터가 대학원생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한국연구노동자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중 30.7%가 우울증 진단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대 우울증 진단 경험률이 4.8%, 30대 4.7%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6배 이상 높은 비율이다.
대학원생의 우울증 원인으로는 ▷고정소득의 부재 ▷노력과 보상의 불균형 ▷업무시간으로 인한 가정과 사회생활 양립의 어려움 등이 꼽혔다.
특히 대학원생 5명 중 1명(20.2%)은 최근 1년간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타난 20대 평균 5.8%, 30대 5.1%와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실제로 최근 1년간 극단적 선택을 계획했거나 시도한 대학원생들의 비율도 각각 7.7%, 2.2%로 파악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폭력 등의 경험이 극단적 선택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언어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19.9%, 모욕적 행위를 경험했다고 답한 비율은 23.5%로 집계됐다. 응답자 중 40.4%가 지도교수와 갈등이나 불화를 겪은 셈이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관계자는 "그간 학생연구노동자의 정신건강 악화에 대한 조직적 원인을 찾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며 "안전한 연구활동을 위한 서면 협약 및 계약 체결, 신체적·정신적 회복을 위한 시간 보장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