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과 은행권 주요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금감원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분쟁 조정 기준안(배상안) 발표 이후 일주일 만에 자리를 갖는다. 배상안 발표 후 숙의 시간이 존재했다는 점에서 금감원과 은행권 간 배상 방향에 대한 의견이 오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18일 정례회의를 열고 이복현 원장과 만찬 겸 간담회를 연다.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매월 넷째 주 월요일 회의 후 금융당국 수장을 초청해 은행장들과 친목 성격 만찬 자리를 갖는데, 이번 만찬에는 이 원장이 참석하는 것이다.
은행연합회 이사회는 조용병 은행연합회 회장을 비롯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과 산업·IBK기업은행, SC제일·한국씨티은행 등 11개 은행장들로 구성돼 있다.
만찬에 이 원장과 H지수 ELS 사태 중심에 있는 은행의 은행장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배상안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다. 또 이 원장이 결국 자율배상으로 의제를 이끌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원장은 배상안 발표 전부터 "금융사들이 금전적으로 배상해준다고 해서 모든 잘못을 없던 것으로 할 수 없겠지만, 상당 부분 시정하고 책임을 인정해 소비자에게 적절한 원상회복 조치를 한다면 당연히 과징금 감경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밝히며 자율배상으로 분위기를 몰아왔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도 지난 12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서민·소상공인 신속 신용회복지원 시행 행사'에 참석해 "금감원에서 합리적인 기준을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효율적으로 처리하자는 건데 왜 배임 문제가 나오는지 잘 모르겠다. 금감원에서 법률적인 측면도 여러 가지 고민을 많이 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금융사들이 주장하는 자율배상 시 배임 문제를 일축했다.
H지수 ELS 배상 방식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금감원의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 회부를 비롯해 ▷금융권의 자율배상 ▷투자자들의 소송이다.
금감원은 금융사가 선제적으로 자율배상에 나설 경우 과징금 등 제재 수위를 낮추는 당근도 준비하며 자율배상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하지만 금융사는 분조위나 소송을 거치지 않을 경우 배임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며 선뜻 나서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