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경북 북부권이 미래 식량 주권 확보의 전진기지로 거듭난다.
경상북도는 1일 전국 최초의 군(郡) 단위 세포 배양식품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의성읍 철파리·원당리 일대 의성 바이오밸리산업단지와 안동, 영주 등을 연계해 북부권을 세포배양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세포배양식품 특구는 총 사업비 199억원을 투입해 오는 2028년 12월 말까지 운영한다. 이곳에선 그간 동물보호법·축산법 등의 규제로 불가능했던 '생검(살아있는 동물 세포 채취)'이 가능해진다. 당일 도축된 소고기에서 고순도 세포를 추출할 수 있다.
신선한 세포 수급이 가능해지면서 세포배양식품의 상용화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된다. 경북도·의성군과 참여 기업 10곳은 고순도 세포 추출을 통해 배양식품 품질 향상과 경제성 확보 등에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포 배양식품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오는 2028년 기준 28조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22년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와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등에 세포 배양식품을 포함시키고, 미래 신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의성 규제특구에선 앞으로 세포 배양식품의 재료가 되는 세포의 수급, 상용화, 실증이 이뤄지며, 제품화를 위한 실증 연구도 함께 진행된다. 대량 생산과 상용화 등을 위해 필요한 3D프린팅 기술과 배양육의 맛·식감을 조절할 수 있는 식품 첨가물 개발도 추진한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이날 보고회에서 "실증 단계에서부터 관련 대기업과 협업을 통해 대량생산 유통경로를 확보하고 제품 상용화에 나설 것"이라며 "현재 관련 대기업 유치도 어느 정도 진척을 이룬 상태"라고 설명했다.

바이오산업 육성에 강점이 있는 안동, 영주 등 북부권 연계 발전의 길도 열렸다. 특구 거점인 의성을 중심으로 안동과 영주는 각각 추출 세포 대량 배양, 스마트 축사 관리·운영을 통한 세포 채취 가축 사육 등의 역할을 나눠 맡는다. 세포 배양식품 인재 육성을 통해 지역 소멸위기 극복에도 시너지 효과를 낸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올 연말이면 바이오밸리산단 내 생산 공장이 준공돼 안정적 세포 배양식품 원료 공급이 가능해진다"며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세포 배양식품 관련 전·후방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포항 배터리 특구를 비롯해 현재 연구·실증화 중인 특구 3곳 등 경북의 규제자유특구는 국가 경제 발전을 이끌고 있다"며 "의성 세포 배양식품 특구를 통해 산업 발전과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金-韓 단일화 2차 담판도 파행 …파국 치닫는 '反이재명 빅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