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체들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비싸게 받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에게 가격 차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햄버거 브랜드 상위 5개 중 이중가격제를 적용하는 업체는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KFC 등 4곳이다. 이들 업체들은 배달의민족 등 배달앱에서 배달용과 매장용 메뉴 가격 차이를 명확하게 고지하지 않고 있다.
롯데리아는 지난달 제품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지난 24일 배달 메뉴 가격을 추가로 올리면서 3년 만에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일부 매장만 배달앱을 통해 "배달 가격은 매장과 상이할 수 있다"는 모호한 문구만 게재했고 다른 지점에서는 이런 문구마저도 찾아볼 수 없다는 경우가 대다수다.
롯데리아 운영사 롯데GRS 관계자는 "본사는 가맹점에 고객 안내 문구를 전달했지만, 아직 문구를 변경하지 않은 점주가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리아는 자사 앱에서는 배달 메뉴 가격이 단품은 700∼800원, 세트는 1천300원 각각 추가된다고 팝업창에서 공지한 상태다.
맥도날드는 최근 이중가격제가 논란의 대상으로 떠오르자 배민 내 매장별 페이지에서 "배달 시 가격은 매장과 상이하다"는 안내문을 넣었지만, 상세한 금액 차이는 알리지 않았다.
롯데리아와 맥도날드의 대표 상품 배달용 가격은 매장보다 각각 1천300원 더 비싸다. 배달 주문 수량이 많을수록 소비자에게 불리한 구조인데 4인 가족이 맥도날드 빅맥세트나 롯데리아 리아불고기세트를 배달 주문하면 5천200원을 더 내야 한다.
지난 3월 이중가격제를 다시 도입한 KFC는 배달앱에서 이중가격제를 전혀 공지하지 않고 있다. 또 버거킹은 배달앱에서 "딜리버리 서비스 메뉴의 가격은 매장 가격과 상이할 수 있다"는 공지만 올렸다.
이중가격제는 햄버거 브랜드뿐 아니라 커피 브랜드, 식당 등에서도 적용된다. 메가MGC커피, 컴포즈커피는 배달용 커피 가격을 500원가량 더 받지만, 매장용보다 비싸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배달앱에도 소비자가 이중가격제에 대한 상세한 공지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쿠팡이츠 등 배달앱 4곳에 공문을 보내 이중가격제 표시를 개선하라고 권고한 것이다. 앞서 소비자원은 지난 2021년에도 햄버거 브랜드 등에 배달 주문과 매장 구입의 제품 가격이 다르다는 사실을 주문·결제 과정에서 명확하게 알려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