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공격을 사주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던 김대남 전 대통령실 행정관이 SGI서울보증 상근감사위원직을 내려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과 여당 지도부 등에서 거취 결단 압박 공세가 이어지자 본인 스스로 물러날 뜻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6일 시사저널 등에 따르면 김 전 행정관은 이르면 오는 7일 SGI서울보증에서 사퇴 의사를 밝힐 예정이다. 김 전 행정관 측근은 매체를 통해 "김 전 행정관이 주말 사이 주변에 '내가 계속 자리를 유지하며 버티기는 어려운 상황 아니겠냐'고 토로했다"고 전했다.
앞서 유튜브 채널 '서울의소리'가 공개한 녹취에 따르면 김 전 행정관은 지난 7·23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약 2주 앞두고 서울의소리 이명수 기자와 통화했다. 그는 통화에서 "한동훈 관련해서 나온 얘기가 있는데 내가 은밀히 전화할 테니까 잘 기억해놨다가 공격할 방법을 찾아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건희 여사가 한동훈 때문에 죽으려고 한다. 이번에 잘 기획해서 (한 후보를) 치면 여사가 좋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행정관이 한 대표에 대한 '공격 사주' 의혹 정황이 포착된 것이다.
해당 사실이 알려지자 한 대표는 지난 2일 국민의힘 당원이었던 김 전 행정관의 공격 사주 배경을 밝혀달라는 등 당 차원의 감찰을 지시했다. 이에 김 전 행정관은 국민의힘 탈당과 동시에 "한 대표와 당을 이끄시는 당직자분들과 당원들 모두에게 논란을 일으킨 것에 진심으로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사과했다.
그럼에도 김 전 행정관의 논란은 잦아들지 않았다. 그가 지난해 10월 대통령실을 퇴직한 이후, 수억원대 연봉의 공기업 감사위원직에 '낙하산'으로 임명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추가로 불거지면서다.
김 전 행정관과 관련한 논란이 계속되자,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부부와 김 전 행정관은 별도의 친분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은 지난 4일 "대통령 부부는 김 전 행정관과 전혀 친분이 없으며, 이 녹취록을 근거로 대통령실과 당의 갈등을 조정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는 입장을 별도로 밝혔다.
대통령실은 또 "이런 사태를 불러일으킨 인사가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느냐"며 "스스로 거취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며 사실상 김 전 행정관에게 사퇴를 압박했다.
댓글 많은 뉴스
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공개되자, 특검 "실제 유서 아냐…강압조사 없었다"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숨진 양평 공무원 유족측 "유서도 아직 못봤다…부검 원치 않아"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