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되자 한국 정부가 시장의 충격 확산 가능성에 대비해 긴급 점검에 나섰다. 당국은 직접적인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면서도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기획재정부는 19일 윤인대 차관보 주재로 '관계기관 시장상황 점검회의'(컨퍼런스콜)를 열고, 무디스(Moody's)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이번 등급 강등은 무디스가 미국의 장기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한 단계 낮은 Aa1으로 내린 데 따른 조치다.
무디스는 그동안 미국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해온 만큼, 이번 조치는 시장에서 일정 부분 예상된 것으로 평가된다.
기재부를 비롯한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 관계기관은 무디스의 이번 발표가 이미 2011년 스탠다드앤푸어(S&P), 2023년 피치(Fitch)에 이어 다소 늦은 조정이란 점에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미국 경제 상황과 주요국과의 관세협상 등 기존의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데다 이번 신용등급 하향은 단기적으로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F4를 중심으로 국내외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공조 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탈당' 김상욱, 이재명에 안겼다…"대통령 되는데 최선 다하겠다"
이재명 "빚내서 집 사는 시대 끝나…'가짜 성장' 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