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 인적 청산 아닌 정체성 쇄신 경쟁이어야

21대 대선에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했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안철수, 조경태, 장동혁 의원과 한동훈 전 대표, 장성민 전 대통령실 미래전략 기획관, 양향자 전 의원 등도 출마 의사를 밝혔거나 출마를 고심 중이다. 당초 출마가 예상됐던 나경원 의원은 불출마를 선언하며 "당 재건(再建)과 미래를 위해 더 고민하고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존폐 위기의 국민의힘은 환골탈태(換骨奪胎)해야 한다. 국민의힘 당원들과 지지층에서는 '쇄신'이라는 이름으로 각자가 반대하는 인물들을 내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다. 그런 쇄신이라면 현재 당 대표로 거론되는 인사들 중에 살아남을 사람은 드물다고 본다. 당원들과 지지자들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은 극단적으로 갈라져 있고, 당 대표 후보군 중 일부는 탄핵 반대층의 비판을 받고, 또 일부는 탄핵 찬성층의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쇄신은 누구를 배제하거나 쫓아내는 방향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본다. 인적 쇄신 중심의 개혁이 아닌 당의 체질과 정체성 중심의 쇄신이어야 한다. 기회주의, 보신주의, 수구주의, 정부·여당과 싸움은 뒷전이고 당내 권력투쟁만 일삼는 계파주의를 싹 뜯어내야 한다. 그런 구태(舊態)를 뜯어낸 자리에 정부·여당과 치열하게 싸우는 전투력, 국민 공감대를 끌어내는 야성(野性),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실력을 앉혀야 진짜 쇄신일 것이다.

당 정체성 쇄신을 위해서는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당 운영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 100% 상향식 공천제 도입, 당원소환제(당 소속 공직자나 당직자 해임 요구 제도) 도입, 당 소속 의원 여론 정기 평가와 상벌, AI·반도체·청년 정책 등 실질적인 정책 강화 등에 집중해야 한다. 분명한 반성과 사과를 전제로 탄핵 논란, 계엄 찬반 논란, 계파 간 이해관계(利害關係)에 따른 갈등 등은 '과거'로 흘려보내야 한다. 국민의힘이 여당을 향해 "아직도 케케묵은 내란 프레임이냐?"고 반격할 수 있을 정도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