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은 18일 강선우·이진숙 장관 후보자와 관련, "두 분에 대해 저희 의견은 다르다"면서 국민의힘 반대와 부정적 여론에도 불구하고 인사청문 절차를 강행(強行)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19일 송언석 국힘 비대위원장의 지명 철회 요청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20일 저녁 이진숙 후보자만 지명을 철회했다. 여권의 알듯 말듯 한 행태는 여론을 좀 더 떠보기 위한 제스처였던 셈이다. 강 장관 후보자는 사수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보좌진을 마치 중세시대 하인 다루듯 한 것이 폭로되어 '갑질 여왕'이란 별명을 얻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제자 논문을 표절하고 자녀를 불법 조기 유학 보낸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행태는 여성가족·교육 정책의 책임자로서 너무나 부적합하다는 것은 삼척동자(三尺童子)도 알 만하다. 오죽하면 그동안 이재명 정부 비판에는 입을 다물던 친여 성향의 여성 단체, 민주당 국회의원 전현직 보좌진들, 전교조 등에서까지 반대 성명을 냈을 정도다.
이에 따라 두 후보자 모두 자진 사퇴 또는 지명 철회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강·이 두 사람에 대한 인사청문회 이후에도 대통령과 민주당에 대한 지지율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여권의 태도가 표변(豹變)했다는 분석이다. '이제 적당히 여론을 반영하는 척하면 그만'이라는 오만(傲慢)에 빠져 강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대선 이후 보수가 리더십을 상실하고 궤멸 상태에 빠진 탓에 현재의 여론조사는 특정 성향의 의견이 과대 표집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기 바란다.
상식을 가진 누가 봐도 부적절한 인물을 억지로 장관에 앉힌다면 이재명 정부는 '갑질 여왕, 강선우' 수준의 정권으로 스스로 자리매김하게 될 뿐이다. 이미 견제(牽制) 기능을 상실한 야당은 있으나 마나 하지만, 건전한 상식(常識)을 가진 국민의 눈높이는 향후 권력의 운명을 결정짓는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