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우리 동네 초등 방학 돌봄 터' 시범 운영… 유휴 어린이집 활용한 새로운 돌봄 모델 제시

여름방학 중 초등 1~3학년 대상 맞춤형 돌봄 서비스
포항·구미·예천 3곳 시범 운영… "유휴 보육 자원, 지역 돌봄 인프라로"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오느 9월 5일까지 여름방학 기간 중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 동네 초등 방학 돌봄 터' 시범사업을 본격 운영한다.

이번 사업은 돌봄 공백이 집중되는 방학 기간, 맞벌이·한부모 가정의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됐다.

도는 지역 내 유휴 어린이집을 활용해 초등학생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생아 수와 영유아 인구의 급감에 따라 비어 있는 보육 시설과 인력을 새로운 돌봄 인프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실제로 도내 0~5세 영유아 수는 2019년 약 11만명에서 2024년 6만9천명으로 37% 급감했다. 같은 기간 어린이집 수는 33%, 보육 아동 수는 39% 줄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초등 돌봄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유휴 공간을 보유한 어린이집 3곳을 시범 운영기관으로 선정했다. 포항시 '밤비니어린이집', 구미시 '무지개어린이집', 예천군 '아이원어린이집' 등이다.

돌봄 터는 평일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까지 운영되며,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에게 독서·놀이 중심의 프로그램과 식사, 간식 등을 모두 무료로 제공한다. 특히 발달 단계에 맞춘 맞춤형 돌봄을 위해 초등 돌봄 전담 교사도 별도 배치된다.

경북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어린이집과 초등 돌봄 간 연계를 강화해 지역 공동체 중심의 상생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운영 성과를 면밀히 분석한 뒤 내년부터는 도내 전 시군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엄태현 경상북도 저출생극복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변화하는 인구 구조에 유연하게 대응한 모범 사례"라며 "아이와 가정, 지역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돌봄 체계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