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정당법 위반과 사문서 위조·행사 혐의를 받는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에게 징역 1년6월을 구형했다. 조 씨는 최후 진술에서 "검찰이 핵심 증거인 대질신문 녹취를 재판부에 내지 않았다"며 "녹취가 사라졌을 경우 담당 수사 검사를 증거인멸로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23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선 조 씨와 김종구 전 몽골대사, 이재섭 전 브랜드뉴파티 경기도당 위원장의 정당법 위반 관련 결심공판이 열렸다. 조 씨는 2020년 2월 '브랜드뉴파티'라는 정당을 창당하려 김 전 대사로부터 받은 월남전 참전 유공자 1만8천여명 명단으로 브랜드뉴파티 입당원서 위조를 기획·지시한 혐의를 받아 2023년 12월 재판에 넘겨졌다. 김 전 대사는 조 씨의 이런 계획을 알고도 명단을 넘긴 혐의를, 이 전 위원장은 조 씨 지시에 따라 1천162장을 위조해 실제 경기도 선관위원회에 제출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피고인 조성은과 김종구는 범행을 전혀 인정하지 않으면서 반성조차 하고 있지 않다. 이 점을 참작해 조성은에 대해 징역 1년6개월, 김종구에 대해 징역 1년6개월, 이재섭에 대해 벌금 500만원을 선고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재판 내내 조 씨는 "김 전 대사가 '즉시 정당 가입을 시켜도 문제 없는 명단'이라며 준 것이라 나는 죄가 없다"는 취지로 주장해 왔고 김 전 대사는 "그냥 명단만 넘긴 것일 뿐 정당 가입 여부는 일일이 조 씨가 확인 전화를 걸어 해결했어야 했다"는 취지로 진술해 왔다. 조 씨의 단독 기획이었는지 김 전 대사가 이를 알면서도 협조한 것인지가 공범 여부를 가르는 쟁점이 됐다.
김 전 대사 측은 "조 씨가 김 전 대사에게 문자로 SOS를 친 지 하루만에 김 전 대사가 1만8천여 명 명단을 조 씨에게 줬다. 김 전 대사가 하루만에 명단 속 1만8천여명에게 동의를 받아서 이를 정리하고 명부 작성까지 해서 줬다는 조 씨의 주장은 상식과 경험칙상 말이 안 된다"며 "김샛별(당시 브랜드뉴파티 사무총장) 씨는 수사기관에서부터 법정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조 씨가 문서를 위조했고 이에 대한 위법성도 인식하고 있었다'고 진술했다. 특히 조 씨와 김 씨 녹취록을 보면 김 씨가 조 씨에게 이를 명확히 지적했지만 조 씨는 이에 대해 아무런 반박을 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에 조 씨는 대질신문 녹취에 이에 관한 '진실'이 들어있다고 주장했다. 조 씨는 "양 당사자가 사건 실체를 모두 인정하는 대질신문 녹취는 가장 강력한 증거 중에 하나다. 그런데 검찰 측이 그걸 제출하지 않았다. 함재원 검사(수사 담당 검사)가 일방적으로 폐기했다면 증거 인멸에 해당하는 좀 심각한 사안"이라며 "재판부가 직권으로라도 대질신문 녹취를 파악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조 씨가 말한 대질신문 녹취란 2023년 가을쯤 검찰에서 있었던 조 씨와 김 전 대사의 수사 기록을 말한다. 이 재판은 2023년 12월 시작됐는데 재판이 이어지는 1년 반 동안 검찰 등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던 조 씨가 결심공판에 이러르서야 검찰 측에 '이 자료를 왜 안 낸 것이냐'고 따진 것이다.
이에 재판부는 "대질신문 녹취를 우리가 받는 건 직권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수사기록이 있다면 선고기일 전에 열람신청청구를 하든가 정보공개청구를 해서 재판부에 제출하라"고 했다. 이에 조 씨는 "검찰에서 받은 뒤 제출하겠다. 만약 대질신문 녹취가 없다면 증거인멸로 함재원 검사를 고발하겠다"고 말했다.

선고기일은 오는 9월10일 열릴 예정이다. 조 씨는 "8월에는 휴가 기간이 있으니까 시간을 좀 더 달라"며 "열람신청청구나 정보공개청구를 하면 시일이 걸리니 선고를 늦춰달라"고 말했다. 판사는 조 씨 요청을 거절하며 "일단 9월10일로 하겠다. 다만 추가 증거 자료 제출이 가능한데 행정 처리상 늦어지면 그때 가서 선고일을 변경해 주겠다"고 했다.
한편 조 씨는 법정에서 '내가 손준성 검사 관련 고발사주 사건을 폭로해 검찰로부터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조 씨가 고발사주를 폭로한 건 2021년 9월2일이었다. 브랜드뉴파티 창당 사기 사건이 최초 언론 보도로 수면 위에 올라온 건 이 보다 1년 반 정도 앞선 2020년 5월15일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강선우 다음 타깃된 안규백…국힘 "병적기록 공개 거부는 군 모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