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동해안 전력 송전 제약 해소와 국가 전력망 혁신을 위해 '동해안 해저 전력망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에 나선다.
서남해안 전력망과 연계해 한반도 U자형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는 이 사업은 향후 포항을 비롯한 동해안 산업지대 전력 수급 안정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동부청사에서 '동해안 해저 전력망 에너지고속도로 사업' 관련 기관 간담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한국전력 대구경북본부와 한국전력기술, 경북개발공사, 포스코 등 전력 계통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사업의 경제성, 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필요성 등을 종합 검토하고 구체적 실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해저 전력망 구축 사업을 처음 논의하는 자리로, 추진 필요성과 타당성을 점검하고 전략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현재 동해안 지역 발전 용량은 17.4GW에 달한다. 송전선로 용량은 11.6GW에 불과해 약 5.8GW의 송전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포항지역의 전력 수요는 4.3GW 이상으로, 산업단지 입주 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유치, 철강산업의 수소환원제철 전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등 신규 전력 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4GW 규모의 해저 송전망 구축을 통해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력을 안정적으로 수요지에 공급하고, 전력 병목 문제를 해소해 포항 등 산업지대의 성장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세부 로드맵을 마련해 정부 에너지 정책과 연계한 중장기 계획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산업부와 한국전력, 기업 등과 긴밀히 협력해 조속히 정부에 사업을 건의할 것"이라며 "한반도 U자형 에너지 고속도로 시대를 열어 경북이 국가 전력 대동맥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극우와 단호히 싸우겠다"…한동훈, 국힘 전당대회 불출마 선언
정부, 北 우라늄 폐수 조사 때 '핵심물질' 검사 빼먹었다
韓美 외교 접촉 반복적 취소…트럼프의 의도적 밀어내기?
李 대통령,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에 분노…"세계가 한국을 어찌 볼까"
강선우 다음 타깃된 안규백…국힘 "병적기록 공개 거부는 군 모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