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임 3주년] 김주수 의성군수 "축적된 정책·연구결과 DB화하고 AI 접목할 것"

"마늘과 노인이라는 이미지를 청년과 미래로 바꿔"
산불 피해 산림 "자연 복원' 틀에서 재창조"
미래 전략 산업 본궤도…"실질적 성과 단계 접어들어"

김주수 의성군수는
김주수 의성군수는 "지금까지 축적된 다양한 행정 정보와 연구용역, 각종 공유재산 등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인공지능을 접목해 정책 시스템을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의성군 제공.

민선 8기 3주년을 맞은 김주수 의성군수는 "그동안 의성군에 대한 시선을 '과거'에서 '미래'로 돌려왔다"고 자평했다.

'마늘'과 '노인'으로 고정됐던 과거 이미지를 '미래 산업'과 '청년' 등 미래 지향적으로 바꿨다는 것이다.

"10여년 전 세포배양이나 안티드론산업 기반을 만들겠다고 했을 때 모두가 웃었습니다. '맨 땅에 헤딩하듯이' 어렵게 기반부터 다졌고, 이제 실질적인 성과로 나타나는 상황입니다."

3선을 연임한 그에게 남은 임기는 1년여. 김 군수는 "차기 군수가 누가 되더라도 그동안 닦아온 신성장 동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리하고 바탕을 다져둘 것"이라고 했다.

◆산불, 복구를 넘어 재창조로

지난 3월 의성군을 휩쓸고 지나간 대형 산불은 깊은 상흔을 남겼다. 산림 2만7천961㏊가 불에 탔고, 주택과 각종 공공시설, 농작물, 문화재 소실까지 더하면 피해 복구액만 3천856억원으로 추산된다.

김 군수는 산불 진화 과정에서 드러난 어수선한 지휘 체계에 대해 진한 아쉬움을 표했다. 대형 산불 발생 시 진화 지휘권을 산림청장이 갖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산림청과 소방청, 지자체 등으로 나뉜 산불 진화 헬기를 통합 운용하고, 산불 대응 자원을 필요한 곳에 집중 지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유연한 지휘 체계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김 군수는 일상 회복과 함께 방대한 피해 산림의 복구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피해 산림 복구의 큰 틀은 자연 복원입니다. 단순조림 위주의 복구는 산불 예방이 어렵고, 지역 산림의 정체성과 활용 가치 회복에 한계가 있습니다."

김 군수는 "충분한 공론의 장을 거쳐 수종 변화를 통한 산불예방 및 산림소득 증대, 산림관광, 미래산림산업 육성 등 산림 재창조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김주수 의성군수는 "지금까지 축적된 다양한 행정 정보와 연구용역, 각종 공유재산 등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인공지능을 접목해 정책 시스템을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의성군 제공.

◆'돈 버는' 단계 진입한 미래 전략 산업

대형 산불의 상흔은 여전하지만 세포배양산업과 안티드론산업, 대구경북신공항 등 의성군이 10여년에 걸쳐 구축해온 신성장 동력은 건재하다.

세포배양산업은 세포배양 소재산업의 테스트베드이자 실증 거점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김 군수는 "세포배양산업지원센터와 GMP 생산 시설 구축을 시작으로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145억원)와 K-U시티 연구지원센터(80억원)가 건립되면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안티드론산업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의성군은 오는 2027년까지 교육훈련시설과 기업지원시설 등을 갖춘 국내 유일의 안티드론산업지원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가음면 일대를 '안티드론클러스터'로 구축해 실증, 교육, 훈련, 테스트가 가능한 드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구경북신공항 민간공항도 의성군에는 화물기 전용터미널을, 군위군에는 여객기 화물터미널을 두는 형태로 이달 중 기본계획 고시를 앞두고 있다.

신공항 건설이 본격화되면 항공물류, 항공 MRO(정비·수리·개조) 산업단지, 농식품 클러스터, 공항신도시 등 공항경제권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김 군수는 "군 단위에서 미래 전략 산업을 육성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면서 "일단 '머리부터 들이밀어보자'는 의지로 버틴 끝에 결실을 맺는 단계가 됐다"고 말했다.

◆"정책·자산 데이터화해 인공지능 접목할 것"

경북시장군수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 군수는 "기초·광역단체장을 모두 지낸 이재명 대통령이 지방 행정의 현실과 과제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고 본다"고 기대했다.

다만 실질적인 지방분권이 되려면 헌법 개정 수준의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지방 소멸 지표를 반영하도록 교부세 제도를 개선하고 특별교부세 확대와 재정 집행의 자율성 확보, 지역 특화 산업에 필요한 규제 완화 등 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김 군수는 남은 임기동안 그동안 추진한 모든 정책과 각종 연구용역 결과, 공공시설 및 공공자산, 지리공간정보(GIS) 등 행정 정보 전반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인공지능(AI)을 접목할 계획이다.

그는 "지금까지 쌓아온 경험과 인적·물적 자산이 사라지지 않고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