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터뷰]봉화군·석포면·태백시 주민 공동투쟁위원회 구성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투쟁선언문 발표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투쟁선언' 현장. 손병현 기자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투쟁선언' 현장. 손병현 기자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투쟁선언' 현장에서 주민들의 목소리가 거세게 울려 퍼졌다. 영풍 석포제련소 주민생존권 사수 봉화군협의회(회장 박재한), 석포면현안대책위원회(위원장 임광길), 태백시현안대책위원회(위원장 배상훈)가 함께 결성한 공동투쟁위원회는 "제련소는 단순한 공장이 아닌, 주민들의 생존권"이라며 중앙정부와 경북도에 강력히 경고했다.

박재한 영풍 석포제련소 주민생존권 사수 봉화군협의회장. 손병현 기자
박재한 영풍 석포제련소 주민생존권 사수 봉화군협의회장. 손병현 기자

◆박재한 봉화군협의회장 "일방적 폐쇄는 지역 소멸"

박재한 회장(봉화JC 회장)은 "제련소 이전·폐쇄는 곧 봉화의 소멸"이라며 위기의식을 호소했다. 그는 "일자리 상실과 인구 감소로 내 고향 봉화가 무덤으로 바뀔 수 있다는 두려움이 주민들 사이에 팽배하다"고 말했다.

그는 '주민생존권 사수'의 핵심을 "영풍의 존속 보장과 환경 규제 준수 속에서 일터와 생계를 지켜내는 것"이라 정의했다. 또한 "대기·수질은 이미 규제 범위 안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토양 복원은 무조건 폐쇄가 아니라 단계적 철거와 질서 있는 복원 계획으로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정부와 경북도는 일방적이고 비이성적인 폐쇄 요구를 거두고, 합리적 대화와 협의로 해법을 찾는 것이 지자체와 국가의 책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원장. 손병현 기자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원장. 손병현 기자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원장 "주민은 안중에도 없다"

석포면의 임광길 위원장은 "주민을 배제한 정책은 폭력"이라며 분노를 드러냈다. 그는 "수년간 제련소가 환경 개선에 힘써왔음에도 정부와 환경단체는 무조건 폐쇄만 주장한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임 위원장은 특히 "농산물을 못 먹는다, 강에 고기가 없다, 심지어 호랑이가 죽었다는 주장까지 나오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왜곡된 여론에 대한 답답함을 전했다.

그는 "만약 정부가 이전·폐쇄를 강행한다면 주민들은 투쟁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다"며 "제련소 사수는 곧 지역 공동체의 생존"이라고 못 박았다.

배상훈 태백시현안대책위원장. 손병현 기자
배상훈 태백시현안대책위원장. 손병현 기자

◆배상훈 태백시현안대책위원장 "경제적 불안감이 더 크다"

태백시의 배상훈 위원장은 "제련소 문제가 곧 시민들의 생존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폐쇄가 현실화되면 수많은 시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지역경제의 근간이 무너질 것"이라며 불안을 토로했다.

그는 해법으로 제련소 현대화와 친환경 기술 도입을 제시했다. "완전 폐쇄보다는 환경 기준을 엄격히 지키는 가운데 안전한 방식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환경개선 투자를 통해 오히려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봉화·석포와의 연대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협상의 주체로 나서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이번 행동은 단순한 반대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요구"라고 힘주어 말했다.

◆"합리적 해법 없인 투쟁 멈추지 않을 것"

이날 투쟁선언 현장에서 주민들은 "제련소는 단순한 산업시설이 아닌, 지역을 지탱해온 생명줄"이라고 외쳤다. 공동투쟁위원회는 중앙정부와 경북도에 "합리적 해법 마련 없이는 저항을 멈추지 않겠다"는 경고장을 던졌다.

한편, 이날 주민들의 목소리가 제도와 정책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25일 오후 경북 봉화군 석포면 만촌 일대에서 열린 '영풍석포제련소 이전·폐쇄 반대 투쟁선언' 현장. 손병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