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發) 관세 전쟁의 여파로 중소기업이 더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환율 상승이 겹치면서 대기업들은 전략 수정에 속도를 높이고 있는 반면 대응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뾰족한 해법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4일 통상 당국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지난 8월 18일부터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하는 50% 품목관세 적용 범위를 407종의 파생상품으로 확대했다. 해당 조치의 영향을 받는 품목은 기계류 및 부품, 자동차부품, 전자기기 및 부품, 화장품류 등 총 407개에 이른다. 특히 대구경북 주력 산업인 자동차부품 업계를 중심으로 피해가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실제 대구상공회의소가 대(對)미 수출 실적을 가진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70.4%가 '감소했다'고 답했고 20% 이상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16.9%에 달했다.
미국 업체에 외장재를 공급하는 A사 대표는 "품목 관세 적용으로 근심이 크다. 물량 자체에 변화는 아직 크지 않지만 향후 다른 대안을 찾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높은 상황"이라며 "현실적으로 규모가 작은 기업은 현지 진출 등 대안이 없어 더 답답하다. 물량 확대에 맞춰 라인 증설까지 추진하고 있던 터라 관세 문제를 더 민감하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정보 습득이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도 적지 않다. 또 다른 부품사 B사 관계자는 "지역은 대다수가 간접수출을 하고 있어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연쇄적인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며 "관세 동향이나 직접 수출에 대비한 정보가 많이 부족하다. 전문인력이 없다 보니 포워딩 업체(운송·통관 대행사)나 관세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중소기업계의 고통이 깊어지고 있지만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동만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피해가 가장 큰 철강·알루미늄·자동차부품 수출 기업들을 보니 수출바우처 사업에 988곳 중 170곳 밖에 선정되지 않았다. 신청했는데 탈락한 기업은 272곳으로 27%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중소기업들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이나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중소기업들이 관세협상 때문에 정말 힘든데 피해가 최소화 되게끔 해달라"고 주장했다.
한편, 중소기업 대(對)미 수출액은 지난 7월 16억7천400만 달러에서 8월 12억9천500만 달러로 한 달 만에 3억7천900만 달러 감소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고관세를 적용 받는 철강·알루미늄·자동차부품 분야 기업은 같은 기간 133곳 문을 닫은 것으로 파악됐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