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이 해운·조선 분야로 확전되며 한국 조선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이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다섯 곳을 제재하면서, 한미 조선 협력의 핵심 사업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14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 해사·물류·조선업에 대해 (무역법) 301조 조치를 취한 데 대한 반격으로 한화오션의 미국법인 5곳을 제재한다"고 발표했다. 제재 대상은 ▷한화오션USA인터내셔널 ▷한화필리조선소 ▷한화쉬핑 ▷한화쉬핑홀딩스 ▷HS USA홀딩스다. 상무부는 "이들 기업이 미국의 조사에 협조해 중국의 주권과 안보, 발전 이익을 해쳤다"며 중국 내 조직과 개인의 거래·협력을 전면 금지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4월 중국 조선·해운 산업을 보조금 의존과 가격 덤핑으로 시장을 왜곡한 산업으로 판단하고 301조 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14일부터 중국산 선박에 순t당 50달러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했고, 2028년에는 140달러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컨테이너 기준 수수료도 120달러에서 250달러로 올라간다.
한화오션이 인수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리조선소는 한국 조선업체가 미국에서 인수한 첫 현지 조선소로,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 조선소는 한미 양국이 추진 중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의 핵심 거점으로 꼽히며,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하는 '미국 내 건조 확대' 전략의 대표 사례로 소개돼 왔다. 미국과의 협력 확대를 계기로 최대 수혜가 예상됐던 한국 조선업이 이번 제재로 불확실성에 직면한 것이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응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경 발언을 한 직후, 이틀 만에 "중국을 돕고 싶다"고 유화 메시지를 내놨다. 이런 혼선 속에 중국이 반격 카드를 꺼내며 미중 통상 전선은 다시 불붙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조치가 미국에 대한 반격이자, 자국 조선 경쟁국인 한국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한다.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회담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미 조선 협력의 향방에도 시선이 쏠린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