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구글이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인도에서는 무료로 운영하며 이용자 및 데이터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다.
9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과 인도 매체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지난 4일부터 인도 시장에서 저가형 '챗GPT 고(Go)'의 1년 무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구글은 인도 최대 통신기업 릴라이언스 지오와 제휴해 제미나이 AI를 무료 또는 할인 제공하며, AI 검색기업 퍼플렉시티도 인도 제2 이동통신사 에어텔과 손잡고 1년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인도의 디지털 미래를 장기적으로 계산한 투자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타룬 파탁 애널리스트는 인도의 방대한 시장 잠재력을 들면서 "인도인들에게 돈을 내라고 요청하기 전에 그들이 생성형 AI에 푹 빠지도록 하는 것이 (오픈AI 등의) 계획"이라고 BBC에 설명했다.
인도의 인터넷 이용자는 9억 명 이상이며 대다수 인터넷 이용자는 24세 미만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일상생활을 한다. 파탁은 "인도가 제공하는 것은 (거대한) 규모와 젊은 이용자층"이라면서 "무료 사용자 중 단 5%만 가입자가 되더라도 이는 여전히 상당한 숫자"라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중국의 경우 이용자 수는 인도와 경쟁할 수 있지만, 엄격한 규제로 인해 해외 기업의 접근이 제한된다. 아울러 인도는 데이터 요금이 세계에서 가장 저렴해 인도인의 데이터 소비량은 세계 대부분 국가를 능가한다.
파탁은 "더 독특하고 직접적인 데이터를 수집할수록 모델, 특히 생성 AI 시스템이 더 좋아진다"면서 "인도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국가다. 여기서 나타나는 AI 사용 사례는 전 세계의 귀중한 사례 연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현직 검사장, 검찰총장 대행에 "정권에 부역, 검찰에 오욕의 역사 만들었다…사퇴하라" 문자
정성호 "대장동 사건은 성공한 수사, 성공한 재판"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정성호 법무장관, 오늘 '대장동 항소 포기' 입장 밝히나
주진우 "대장동 항소 방해 책임져야…李대통령도 성역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