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시정 거부와 관련, 남북한과 중국, 동남아국가 등 국제적 연대를 통한 대일압박을 본격적으로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정부는 일본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연대 방안에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일본의 왜곡시정 거부가 양국간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심각히 훼손했다는 판단에 따라 국제사회를 통한 일본 고립화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중국 정부도 일본의 검토결과가 공식 전달된 뒤 극도의 유감과 강렬한 분노를 표시한 바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내달 말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세계인종차별철폐회의 대표단을 격상, 각료급 인사를 수석 대표로 참석시키기로 방침을 정했다.
정부는 유엔인권고등판무관(UNHCHR)실 주관으로 열리는 이 회의에 한완상 교육부총리 등 장관급 이상 각료를 보내 과거 식민지시대 일제만행을 고발하고, 중국 등과 함께 과거사를 반성할 줄 모르는 일본의 부당한 처사를 규탄할 방침이다.
또 북한측이 최근 제의해온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관련한 남북 학자들간의 학술회의 개최 지원 등 국제연대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오는 25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회의 때 한승수 외교장관과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 일본 외상간의 한·일 양자회담 거부 여부에 대한 검토작업에도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오는 12일 일본교과서 왜곡대책반과 자문위원단 합동회의를 열고 중·단기 대책을 점검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