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참사 사고수습대책본부가 자충수와 악수(惡手)만 거듭하는 등 위기관리능력 부재를 드러내면서 대구시 등 관계기관에 대한 신뢰가 땅에 추락하고 수습대책도 표류하고 있다.
이에따라 사태의 수습을 위해 중앙정부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대구시가 피해자 가족과 시민단체로부터 '카운터 파트'로 인정받지 못하면서 27일 현재 사고 발생 9일이 지나도록 사고 수습은 한 치의 진전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시청사에 3분의1 인원만 근무케 하고 3분의2 인력을 사고수습대책본부에 격일제로 투입하는 등 가용인력을 총동원하면서까지 시는 이 문제에 매달리고 있지만, 실종자 문제 해결을 위한 피해자 가족과의 합의를 전혀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대책본부는 또한 시의원.법조인사.의사.종교인.언론인 등 18명으로 구성된 실종자심의위원회를 구성키로 했으나 이 문제 역시 인선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지하철 참사 발생 이후 매일 대구시민회관 수습대책본부에 출근해 상주하다시피 하던 조해녕 대구시장도 26일 종일 시민회관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조 시장은 이날 대구지역 24개 유관기관장과의 협력네트워크 결성을 위한 간담회차 대구시청에 출근해 하루종일 집무실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의 한 고위공무원은 "중심을 잡아야 할 조 시장이 책임론 대두로 매우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한 획기적인 돌파구가 없다면 사태 수습 장기화는 불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사면초가에 빠진 대구시가 사고 수습도 못하고 시정 공백 상황만 길어진다면 피해는 결국 시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는 만큼 사건수습의 핵심 과제인 실종자 인정사망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게 됐다.
정부가 대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만큼 사태 수습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윤석기 실종자가족 대책위원장은 "현장 훼손 등의 책임이 있는 대구시와 상대하는 것은 이제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다"며 "시를 믿지 못하겠으며 대통령 직속 기구를 만들어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지역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대구지하철 참사 시민사회단체 대책위원회도 26일 있은 기자회견에서 "현장 수거물에서 실종자의 유골과 유류품이 발견되는 등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했다"며 "현장보존을 무시한 대구시와 지하철공사, 경찰은 사태 수습의 주체가 될 수 없으며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와 관련해 노무현 대통령이 대구지하철 참사 대책 마련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정부 차원의 인정사망조사위원회 구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해 귀추가 주목된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