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섬유산업 장기 발전전략인 포스트 밀라노 사업 방향 및 추진체계가 대폭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2일 대구를 방문한 밀라노프로젝트 평가단에 '포스트밀라노 프로젝트 추진방향'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시는 지난 4월 19일 정부에 제출한 포스트밀라노 잠정 계획안이 제직(992억, 16.2%), 염색(1천30억, 16.9%)에 치우쳐 심각한 산업불균형을 초래했다고 판단, 패션(95억, 1.5%) 및 봉제(257억, 4.2%) 지원 확대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또 포스트밀라노 계획안이 밀라노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섬유관련 전문 연구원 중심으로 수립돼 있다는 업계 불만을 받아들여 개별기업 중심의 시스템 운영 체제로 전환키로 했다.
각 주관기관별 하드웨어 인프라 조성 사업을 최소화하는 대신 기존의 하드웨어를 이용한 기술개발, 인력양성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 관련 예산을 집중 투자하는 한편 전시회, 해외 공동마케팅, 사이버 마케팅 사업에 예산 지원을 확대, 지역 섬유업체들에에 실질적 도움을 주겠다는 것.
또 대구시 경제정책과에 따르면 포스트밀라노 프로젝트를 비롯 내년부터 추진되는 메카트로닉스, BT, NT 등 지역 4개 전략사업은 R&D 기획평가단에 의한 사후 평가 기능이 도입돼 각 주관기관 중심의 사업 추진 관행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특화산업을 진행중인 대구, 부산, 경남, 광주 등 4개 지역을 제외한 9개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추진하면서 R&D 기획평가단 설치를 의무화, 사업 진척 상황에 따라 예산규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
이에 따라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시행되는 4개 지역 5개년 후속 사업에도 평가단이 설치돼 포스트밀라노 주관기관들도 밀라노프로젝트때와 달리 사업 진도가 부진할 경우 대규모 예산 삭감 조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평가단 설치 기관으로 테크노파크를 고려하고 있다.
지역 섬유업계에 따르면 원사 및 사가공 단계에서부터 각각의 특성에 맞는 제직, 염색, 패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지만 밀라노프로젝트 주관기관 경우 업계간 반목과 첨예한 이해관계에 얽혀 독자 사업을 추진하는 바람에 섬유구조 고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단순한 사후 평가기능을 벗어나 각 주관기관별로 이뤄지는 개별사업들을 통합.조정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의 평가단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아예 예산관리 기능까지 평가단에 부여해 지역 섬유업체들과 밀착한 사업을 펼치는 주관기관에만 예산을 배부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한 상태로 아직까지 시행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