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미래를 걱정하는 지식인 그룹의 요즘 최대 관심사 가운데 하나는 국회에 발의 중이며 오는 20일 공청회를 앞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KIST)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의 막스프랑크연구소, 프랑스 CNRS, 대만의 ITRI 등에서 증명되고 있듯이 전통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첨단 뉴비즈니스로 극복하고, 지방분권과 혁신을 달성하는 데는 어김없이 우수한 과학기술 두뇌집단의 '유치'라는 '성장엔진'이 있었다.
21세기 사회가 과학기술 중심의 지식기반 사회라는 점을 인식한다면, 우리의 현실과 세계적 흐름에 맞는 DKIST의 설립과 운영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새삼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또 우리가 기대하는 DKIST와 지역대학, 지역기업, 지방정부 등 지역사회 전반의 시너지 매커니즘을 설명하기에는 이 글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기서 분명이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여론을 형성하는 주도층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 대학교수 중 일부의 태도다.
지난 해 하반기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이 발표되면서 '연구원' 설립이 그 속에 포함됐었고,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전문대학원을 설립하자는 의견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논의를 통해 "이미 지역에서는 충분히 많은 과학기술인재를 양성하고 있는 만큼 인재육성보다는 인재를 담는 그릇인 연구원이 중요하다"고 결론이 난 상태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지역언론을 통해 당연히 보도됐다.
그런데도 소위 전문가랍시고 자칭하는 일부 지역대학 교수들은 이 사실도 모른 채 "DKIST가 지역대학과 갈등만 초래할 것"이라고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지역신문은 관심이 없어 안본다"고 자랑스레(?) 떠벌리고 있다.
지역대학에 몸담고,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으며, 지역민들로부터 '교수' '전문가'로 대접받고 있지만 그들의 의식은 지역인이 아닌 것이다.
지역혁신의 첫 걸음은 '사이비 지역 전문가(교수)'들의 척결이라는 생각은 지나친 것일까.
석민 경제부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