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대구 구상'의 의미

지난 12일 노무현 대통령이 '대구구상'을 발표한 뒤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가 무엇인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일부는 대통령의 뜻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가려는 조짐까지 나타내고 있다.

'혁신'과 '자립형' 지방화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가 내놓은 자립성장형 특화산업 계획은 포항 중심의 NT(나노), 구미 중심의 IT(정보기술), 북부지역의 BT(생명공학)의 첨단산업 거점을 구축해 포항~영천~경산의 나노산업 클러스터, 구미~칠곡~경산의 IT산업 클러스터, 상주~영주~안동~울진의 BT산업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밝히고 있다.

'경북'이라는 행정구역을 벗어나지 못한 구태의연한 관료적 발상이다.

혁신의 대상이 될 낡은 패러다임에 입각해 지역 혁신전략을 세우겠다는 모순을 드러낸 셈이다.

모든 것이 수도권에 집중된 현실에서 각 지방이 갖춘 자체의 혁신역량은 아주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자체의 혁신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행정구역을 넘어 관련된 산업을 연계시켜 지방의 역량을 강화해 지방을 육성하겠다는 것이 참여정부의 '산업클러스터' 정책의 핵심이다.

이미 부산·경남·울산은 '자동차·기계·조선·물류 산업클러스터'를 진행하고 있고, 충청권도 행정수도 이전을 계기로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의 '비전'이 없기로 대구·경북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광주·전남은 "시·도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라도 실시하자"는 여론이 나올 정도로 '초광역' 산업클러스터의 구축에 고민하고 있다.

"대기업 유치를 지원해 달라"는 대구의 건의를 냉정하게 거절한 노무현 대통령의 참뜻을 되새겨 봐야 한다.

또 LG필립스의 차세대 LCD 공장 파주 건설과 삼성전자의 기흥 반도체공장 확장, 삼성전자 TFT-LCD, PDP, 반도체 관련 공장의 충남 아산 건설 등이 갖는 의미를 '경북'과 '구미'는 냉철하게 돌이켜 봐야 한다.

한 몸에 머리가 둘 달린 뱀과 같은 모습을 한 대구와 경북이 살아남는 길은 서로 협력해 상생(相生)의 길을 찾는 방법뿐이다.

석민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