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幹세포.stem cell)란 신체내에 있는 모 든 세포나 조직을 만들어 내는 기본적인 세포를 말한다.
이 줄기세포에는 사람의 배아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복수기능 줄기세포)'와 혈구세포를 끊임없이 만드는 골수세포와 같은 '성체줄기세포(다기능 줄기세포)'가 있다.
배아줄기세포에서 '배아(embryo)'는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가 만나 결합된 수 정란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수정된 후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가 마무리되는 8주까지 의 단계를 가리킨다.
배아는 보통 5-7일 동안 세포분열을 거쳐 100-200여개의 세포로 구성된 '배반포 기배아(blastocyst)'로 발생돼 자궁에 착상하게 되며 계속해서 세포분열과 분화 과 정을 통해 인간 개체로 발생하게 된다.
배아줄기세포는 착상 직전 배반포기배아나 임신 8-12주 사이에 유산된 태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으로 발생하는 세포이기 때문에 인체를 구 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210여개 장기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원시세포를 유지시켜 준 상태를 배아줄기세포주(Stem Cell line)라고 한다.
특히 이번에 황우석 교수팀이 개발한 배아줄기세포는 사람의 난자에 난치병 환자 본인 체세포의 핵을 넣어 배양했기 때문에 향후 언제든지 특정 세포로 분화시켜 임상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연구팀은 뇌질환에서 당뇨병, 심장병에 이르기까지 많은 질병을 치료 하는데 이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걸고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인슐린 생산 세포를 만들어 내거나 척추부상 으로 마비된 환자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경세포를 길러내는 것이 가능하다고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이에 비해 성체줄기세포는 혈액을 구성하는 백혈구나 적혈구 세포처럼 정해진 방향으로만 분화하는 특성이 있다는 게 과학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에서 채취한 신경 줄기세포를 근육세포, 간(肝)세포, 심장세포로 전환할 수 있음이 알려지면서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가능성도 밝혀지고 있다.
일단 현재까지의 상황으로만 보면 성체줄기세포로 척수마비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연구가 최근 서울아산병원에서 임상2상 단계에 진입함으로써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훨씬 앞서가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성체줄기세포는 면역거부반응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한 데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큰 문제가 없어 앞으로 임상적용이 더 확산될 전망이다.
그러나 성체줄기세포는 줄기세포만큼 오래 살아있지 못하는 데다 채취되는 양이 매우 적어 실험실에서 배양을 통해 증식을 유도해야 하는 단점 때문에 임상에서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가톨릭의대 오일환 교수는 "성체줄기세포는 이미 임상단계에 진입했기 때문에 배아줄기세포보다 먼저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황 교수팀의 연구성과는 핵치환 기술화 효용성 측면에서 진일보한 것은 사실이지만 특정 장기나 기관으로의 분화기술과 암(癌)화 예방 등의 핵심적 기술개발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