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지난해 심뇌혈관질환 조사 감시 결과에 따르면 119 신고 뒤 구급차 도착 시간이 평균 7.8분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학계에 따르면 심장이 정지된 환자의 경우 생명을 좌우하는 시간은 초기 4분이다.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해야 뇌손상 등 후유증 없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급차가 늦게 도착한다는 것은 그만큼 살릴 수 있는 아까운 생명을 잃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심정지(心停止) 환자는 인구 10만 명에 40~42명 발생하지만 생존율은 2.4% 수준이다. 일본 10.2%, 미국 8.4%보다 크게 떨어진다.
구급차의 늑장 출동 이유는 복합적이다. 구급차 수가 1천310대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비응급 환자 수송도 많다. 소방방재청의 지난해 119 구급차 이용 현황에 따르면 전체 이송 환자 131만여 명 중 응급 환자는 34.6%인 45만여 명이었다. 단순한 감기 등 비응급 환자의 구급차 이용이 잦다 보니 실제 응급 환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운전자의 비협조도 문제다. 구급차가 지나가도 양보를 하지 않아 출동 시간이 많이 걸린다.
선진국에 비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낮은 것은 뒤떨어진 구조 시스템도 큰 몫을 차지한다. 응급차가 빨리 도착해도 제대로 된 응급조치를 취하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5천973명의 구급 인력이 있지만 병세에 따라 정확하게 조치할 수 있는 1급 구조사는 1천479명뿐이다. 일부 지방에서는 혼자 출동하는 비율이 50%가 넘어 구급차가 단순 환자 이송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이래서는 급박한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없다. 구급차의 확충과 1급 구조사 양성도 시급하지만 무엇보다 시민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무분별한 구급차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한 사람이 200여 회나 구급차를 이용한 사례도 있다 한다. 미국 등 선진국은 비응급 환자의 구급차 이용을 막기 위해 비용을 부담하게 하거나 별도의 차량으로 이송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또 지속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구급차가 빨리 출동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분초에 생명을 다투는 응급 환자가 시민의 비협조로 제때 조치를 받지 못한다면 심각한 사회적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응급 사태는 누구나 겪을 수 있다. 최소한 구급차에만큼은 모든 것을 양보하는 공감대를 키워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 박정희대통령 동상건립 논란 유감…우상화냐 정상화냐
이재명의 추석은?…두 아들과 고향 찾아 "경치와 꽃내음 여전해"
홍준표 "김건희, 지금 나올 때 아냐…국민 더 힘들게 할 수도"
정청래, 다친 손 공개하며 "무정부 상태…내 몸 내가 지켜야"
조국, 대선 출마 질문에 "아직 일러…이재명 비해 능력 모자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