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화 간판이 빼곡한 향촌동 골목의 한 모퉁이 가게 안에서 70이 다 된 노인이 등을 구부리고 망치질을 하고 있다. 질그릇처럼 얼굴이 퍼석한 이 노인은 이 골목에서 고집 센 노인으로 통하고 있었다. 평범한 사람들이 눈치 챌 수 없는 결함이지만, 구두에 조금이라도 상처가 생기거나 봉합이 틀어져 있으면 밑창만 떼서 남기고 쓰레기통으로 버리기 일쑤였고, 너무 뻣뻣하거나 늘어진 가죽이 들어오는 날이면 호통을 쳐서 돌려보내기 예사여서 그 고집스러움 때문에 까다롭다 불리는 노인이었다.
노인은 모험과는 멀어져 있고, 권태롭고, 고독하고, 사회적으로는 아무 중요성이 없어진 듯한 얼굴을 하고 있지만, 그의 주름진 귓속으로 동전을 넣으면 은종이에 쌓인 갖가지 모험담과 귀중한 충고들이 짤랑거리며 쏟아져 나올 것 같은 훌륭한 주름을 가졌다. 그의 얼굴에 드리운 주름살을 보면 누구라도 그가 고생을 많이 했고, 인생을 깊이 체험했고, 그 주름에 어울릴 만한 가치 있는 생을 산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석현은 노인의 익숙한 손놀림을 바라보다가 노인과 눈이 마주치자 안색을 밝게 하고 가게 안으로 들어섰다. 문을 열자 풍겨오는 가죽냄새가 석현의 마음을 흔들었다. 노인의 셔츠에서 늘 배어 나오던, 사춘기 시절의 향수가 어린 냄새였다.
"오늘 구두 장인 인터뷰하셨다면서요? 우리 아버지 유명해지시겠네."
"이런 늙은이한테 파먹을 게 뭐가 있다고. 밥 먹고 한 일이 이게 전분데, 세월이 흐르면 풀 포기도 고목이 되는 것을. 세월이 만드는 게 장인인 것을 그게 뭐 대수라고."
석현은 얼마 전 부장 승진을 하며 대전 공장으로 발령이 난 터라 오늘 가게에 들러 아버지를 모시고 대전으로 갈 것을 의논할 참이었다. 평생 해온 일과 고향을 등지고 자신을 따라나설 것을 이야기하기가 죄송했지만, 그렇다고 나이 든 아버지를 홀로 남겨 둘 수는 없는 일이었다. 석현의 마음을 눈치 챘는지 노인은 아들이 말을 꺼내기도 전에 선수를 친다.
"여긴 나같이 나이 든 사람들이 많다. 장인이라면 그 사람들이 다 장인이지. 삼사십 년 전만 해도 서로 배우려고 애였지만 요즘 젊은 사람들이 이런 걸 배우려고 해야 말이지. 하긴 젊은 사람들이 이걸 배워 어디 쓰겠냐? 차고 넘치는 게 신발인데…. "
노인은 느릿한 몸을 일으켜 유난히 한쪽 발이 굽은 모양의 구두를 꺼내어 석현 앞에 내놓는다.
"대전 갈 때 신고 가라. 지난번 보니 앞이 다 해졌더구먼. 그래도 이런 신발이 꼭 필요한 데가 있는 게다. 차고 넘치는 신발 대신 꼭 이곳에서 맞추어 신어야 하는 사람들 말이다."
석현은 노인이 내미는 신발을 보며 꺼내려던 말을 주저한다.
석현은 태어날 때부터 왼쪽 다리가 조금 짧고 왼발이 굽어 있었다. 그래서 석현의 왼쪽 고무신에는 늘 고무줄이 친친 감겨 있었다. 고무줄을 감은 탓에 신은 벗겨지지 않았지만 빨리 걷거나 뛰기라도 하면 절룩임이 표가 났다.
석현이 초등학교 때 노인은 철공소 봉급을 넉 달 동안 모아 갈색 가죽 구두를 석현의 발에 신겨 주었다. 초록색 실로 발등에 굵은 땀이 수 놓인 멋스러운 구두였다. 철공소 월급이 삼만원이었던 당시, 이만오천원이나 하는 구두는 그들의 형편으로는 엄두도 못 낼 가격이었지만, 아버지는 공장에 특별히 부탁해 굽을 높게 만들고, 신발 안쪽엔 자신이 직접 자른 헝겊을 겹쳐 빈 공간을 채웠다. 그 탓에 고무신을 신을 때보다 절룩거리는 티가 덜 나긴 했지만, 무겁고 헐렁한 구두는 바쁜 등굣길에 자주 벗겨졌다. 벗겨진 구두 속에서 헝겊 조각이 튀어나올 때마다 석현은 도둑질이라도 하다가 들킨 아이처럼 얼굴이 온통 붉어졌다.
"아버지, 이 구두 안 신을랍니다. 병신이 병신처럼 살아야지 아닌 것처럼 흉내를 낸다고 뭐가 달라집니까?"
"이놈아, 네가 왜 병신이냐? 왼발로 뜀뛰기를 많이 하면 다리도 굵어질 거고, 돈 벌면 서울로 가서 굽은 뼈도 펼 것이다. "
하지만 그건 거짓말이었다. 굽은 뼈를 펼 수 있는 병원도 없었고, 혹여 뼈를 펼 수 있는 병원을 찾는다 해도 철공소 봉급으로는 평생을 벌어도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었다. 아이의 발에 꼭 맞는 편안한 구두를 신기는 게 꿈이었지만, 한창 자라는 아이의 발에 맞는 구두를 매년 맞추기란 철공소 직공의 월급으로는 어림도 없는 노릇이었다.
당시 수제화를 만드는 기술자는 철공소 직원의 몇 배나 되는 돈을 벌었고, 그 기술은 평생을 수월히 먹고살 수 있는 기술이어서 배운 것 없는 이들이 너도나도 배우고 싶어하는 고급 기술이었다. 하지만 갑피사가 되려면 십 년 가까이 고달픈 수습공 생활을 해야 했기에, 처자식을 등에 이고 그 시간을 버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게다가 구두를 만드는 기술은 인맥이 없으면 수습공으로도 들어가지 못했다. 일선 양화점과 골든 양화점 등 곳곳의 문을 두드렸지만 번번이 거절당하던 그는 철공소에서 몰래 빼돌린 철제들로 선반이나 테이블을 만들어 구두공장에 들여 주며 일 배우기를 사정했고, 우여곡절 끝에 수제화 공장인 '분홍신'의 하견습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분홍신'은 '칠성구두'와 함께 대구에서 제일 이름 있는 수제화 공장으로 직원만 해도 사십 명이 넘었고 하루 100족 이상의 구두가 팔려나가던, 당시 최고 인기를 누리던 배우들이 구두를 맞추어 가던 큰 공장이었다. 하지만 한 달 오천원이던 하견습의 월급은 철공소보다 여섯 배나 적은 임금으로, 버티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그의 도시락엔 마른 멸치와 간장에 절인 무말랭이가 반찬의 다였다. 분홍신에 들어간 후로 다섯 달 동안 가죽을 자르는 칼만 갈았고, 그 후 실밥을 따고 본드 칠을 하는 잡일을 해주며 중견습이 되기까지 1년을 일했다. 그리고 미싱을 배우는 상견습이 되기까지 또 4년이 걸렸다.
상견습이 되어 미싱 기술을 배우기 시작하자 살림이 나아졌다. 기술자들은 월급제가 아닌 도급제여서 구두 한 족에 50원 받던 것을 미싱 기술을 배우자 구두 한 족에 100원을 받았다. 보름 일하면 공무원 한 달 월급을 버는 미싱사는 모두가 부러워하는 직업이었다. 그리고 미싱을 박는 상견습에서 디자인과 재단을 하는 갑피사가 되기까지 또 13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
1970, 80년대 중반까지 수제화는 상당한 호황을 누렸다. 명절을 앞둔 보름 전부터는 매일 밤샘을 해야 할 정도로 일감이 넘치던, 꿈과 활기가 가득하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80년대 중반, 기성화가 나오면서 공장은 일 년이 다르게 쇠락해졌다. 미싱사이기는 하지만 매끈한 솜씨를 갖추지 못한 사람들은 그때 모은 돈으로 완성된 구두를 받아 파는 가게를 차려 후에 많은 돈을 벌게 되었지만, 기술이 좋은 사람들은 기술자로 공장에 남아 있었기에 수제화 사업이 쇠락하면서 그들의 수입도 줄어갔다. 이제 60~70여 개의 점포만이 남은 향촌동과 대안동 수제화 거리엔 고요한 쓸쓸함이 배어 나왔다.
석현이 아버지가 내민 구두를 신으려 할 때, 중년의 남자와 그 아들로 보이는 사내아이가 가게로 들어왔다. 아이는 한눈에 보아도 다리가 불편해 보였다.
"어여 들어와. 다 만들어 놨어. 내 아들 어릴 적이랑 모양이 비슷해. 아들이 예전에 신던 구두 틀을 깎으니 모양이 딱 맞더라고. 이걸 신으면 신발 벗겨질 일도 없을 테고 절룩거림도 덜할 것이야."
노인이 내준 구두는 처음 그가 석현을 위해 만들어 준 구두와 모양이 같았다. 어린 양가죽을 사용해 표면이 천처럼 보드랍고 높은 굽 안에는 스펀지를 넣어 가볍고 발을 편하게 했다. 노인은 오래전에 구두를 맞춘 사람들이 찾아와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라스트라 불리는 구두 틀을 한 족도 버린 적이 없었고, 아들의 굽은 발에 맞춘 여러 크기의 구두 틀을 그대로 보관하고 있었다.
구두를 신은 아이는 바닥에 발을 쿵쿵 치고 앞뒤로 돌려 보다가 남자의 귀에 대고 무어라 귓속말을 했다. 귓속말을 듣던 남자가 조용히 미소를 짓더니 말했다.
"아이가 고맙답니다. 크면 자기도 할아버지처럼 구두 만드는 사람이 될 거라네요. 듣던 바대로 훌륭하십니다. 아주 좋은 신발이에요."
노인은 얼굴 가득 웃음을 머금으며 대답했다.
"예끼, 이 녀석! 이왕이면 더 멋진 일을 해야지. 사람 젤 밑바닥에 붙어다니는 게 구두인지라 이 기술도 맨 밑바닥부터 시작해야 해서 여간 힘이 드는 게 아니야. 이왕 힘들 거면 의사가 돼라. 의사가 돼 우리 아들놈 발도 펴주고 부모님한테 효도도 하고…."
몇 번이나 허리를 숙여 인사를 한 후 가게를 나가는 부자를 바라보며 노인은 꿈을 꾸듯 중얼거렸다.
"늙은이가 되면 아무 쓸모도 없는 멍청이가 되는 줄 알지? 그래도 봐라. 애비가 아직 쓸모 있는 일을 하고 있지 않으냐? 이 많은 구두 틀 속에는 굽은 발. 뭉뚝한 발, 짝짝이 발, 가지각색의 모양들이 있다. 이 구두 틀 때문에 몇 년마다 찾아오는 사람들을 두고 내가 어디로 간단 말이냐. 땅을 딛고 사는 사람이 발이 편해야 인생이 수월하지, 불편한 몸으로, 안 그래도 거친 길을 발바닥마저 불편하게 어찌 걸어가겠냐 말이다."
석현은 하려던 말을 접고 겸연쩍은 표정으로 창밖을 바라본다. 해거름이 내려앉은 향촌동의 거리는 시간이 멈춘 듯 고요하다. 화려한 마네킹과 현란한 색의 기성품 사이에서 아직도 이곳은 첨단의 기계가 할 수 없는 일을 위해 저녁을 보낸다. 지금은 고요하고 쓸쓸함이 배어 나오는 거리지만 이 골목에는 조용히 웅크린 낯익은 그 무엇이 있다. 명예도 아니고 부귀도 아닌, 우리의 삶이 귀중하고 특별함을 찾을 수 있는 그 무엇, 그것 때문에 이곳 사람들은 이 거리를 떠날 수 없고, 그들을 찾아 오늘도 사람들은 이곳으로 발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중절모를 쓴 멋쟁이 노신사와 그의 팔짱을 낀 머리 흰 애인과, 발등이 뚱뚱한 여대생과, 고집스러운 중년 부인과, 그리고 저 소년처럼. 그렇다. 한때는 화려했지만 지금은 아버지의 주름처럼 쇠잔해진 이 거리엔 이곳에만 어울리는 열정과 로망, 황금빛 고적의 향기와 기품이 거닐고 있다. 비둘기 파닥거리는 낡은 도로 위로 딸랑딸랑 은마차가 달리고, 바랜 지붕 위엔 바이올린이 은전 같은 반짝임을 울리며 퍼지고 있다.
김계희(그림책 작가)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제대로 된 공항 만들어야…군위 우보에 TK신공항 건설 방안도 검토"
대구시 '재가노인돌봄통합' 반발 확산…전국 노인단체 공동성명·릴레이 1인 시위
최재영 "벌 받겠다…내가 기소되면 尹·김건희 기소 영향 미칠 것"
정부, 지방의료 6천억 투입…지방도 서울 수준으로 의료서비스 올린다
尹, 한동훈 패싱 與 지도·중진 ‘번개만찬’…“尹-韓 앙금 여전” 뒷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