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 이혼이나 별거로 말미암은 한부모가정이 늘고 있으며 그중 부자(父子)가정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대구시 통계에 따르면 아버지 혼자 18세 미만 자녀를 키우는 부자가정은 2009년 880가구에서 지난해 1천246가구로 41.6%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어머니 혼자 자녀를 키우는 모자가정이 2천785가구에서 3천527가구로 26.6% 늘어난 데 비해 수는 적지만 증가율은 훨씬 높다.
부자가정이 많아지고 있지만, 양육비와 복지자금 등을 지원받는 모자가정에 비해 제도적 지원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과거에 한부모가정 하면 주로 모자가정이었고 모자가정이 부자가정보다 경제적 기반이 취약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 부자가정은 모자가정과 비교하면 사회의 따가운 시선으로 근거 없는 편견과 오해에 시달리며 남모를 고충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한부모가정의 양상이 바뀌면서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지원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며 그 이유 역시 충분하다. 모자가정보다 낫다고 하지만 저소득 부자가정도 적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모자가정의 자녀 양육이 정서적 친밀함 속에서 이뤄지며 모자가정 자립시설 등을 통해 고충을 나눌 수 있지만 자녀 양육에 서툰 부자가정의 아버지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하며 그 어려움을 호소할 곳도 마땅찮다.
가정의 달인 5월에 한부모가정이 늘어나는 현실은 안타깝다. 그러나 한부모가정도 변화하는 사회의 일부분이며 경제적 자립과 자녀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사회가 더 손을 뻗어야 함은 분명하다. 이런 점에서 소홀히 여겨지는 부자가정에 대한 지원 제도와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경제적으로 어려우면 도와줘야 하며 자녀가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양육 상담 지원, 자립시설 건립 등에도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