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력난 위기 해결사 '가스냉방'

사용 비율 10% 높일 경우 화력발전 5기 전력 대체, 연간 2676억원

장마 뒤 본격적 폭염을 앞두고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대성에너지 옥상에 설치된 가스냉방 시스템. 매일신문 DB
장마 뒤 본격적 폭염을 앞두고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대성에너지 옥상에 설치된 가스냉방 시스템. 매일신문 DB

전력수급 위기의 한 대안으로 가스냉방이 떠오르고 있다. 정부가 중장기 에너지 수급 전략으로 가스 냉방을 권장하고 특히 올여름에는 원자력발전소가 상당수 가동 중단되면서 전력 공급이 줄어 가스 냉방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가스냉방으로 전력난 해결

올여름 전력난으로 냉방온도 26도 이상, 피크시간대 전기 사용량 3~15% 의무감축 등 강력한 에너지 절감 대책이 쏟아지고 있다.

에너지 업계는 단순히 소비를 줄이는 방법 외에 전력 대체를 통한 전력수급 안정화에 힘써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가스냉방 비율을 10% 높일 경우 화력발전소 5기에 해당하는 전력 소비를 대체할 수 있고 연간 2천676억원의 비용 효과가 있다.

대성에너지는 "천연가스로 냉난방할 경우 국가적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효율성이 높고 경제적인 가스냉난방으로 대체하면 전력난 해결은 물론 하절기 LNG 비축물량의 감소로 잔여 물량 비축에 필요한 저장탱크 건설비용을 절감해 가스요금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부도 가스냉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1996년부터 가스냉방장려금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1997년부터는 원료비 이하로 요금을 책정해 운영했다. 2010년부터는 정부의 보조금으로 전환해 운영 중이며 현재는 가스냉방기기 설치비의 약 20%를 정책자금에서 지원하고 있다. 2013년 5월까지 가스냉방 정부 보조금 신청 금액은 약 76억 원에 달한다.

◆가스냉방 보급위한 노력 필요

대구지역의 가스냉난방기 설치는 2011년 126대, 2012년 19대, 올해는 7월 말까지 100대가 설치됐다. 특히 경찰서, 우체국, 학교 등 공공기관 설치가 많다. 하지만 아직 가스냉방 수요는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냉방전력수요는 1천766만㎾로 하절기 최대전력의 23.7%를 차지했고 같은 기간 가스냉방 전력대체량은 190만㎾로 원자력 2기 발전량의 최대전력을 대체했다.

일본의 경우 가스냉방수요는 2011년 23.3%인 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9.7% 수준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22년까지 가스 냉방 비중을 23%로 올린다는 목표로 가스냉방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6월 28일 개정된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서 1천 m²이상의 공공건축물은 신'증축 시 주간 최대 냉방수요의 60% 이상을 심야전력 또는 도시가스 등을 사용토록 했다. 기존 3천 m²이상 공공건물에 적용하던 것을 더욱 강화 확대해 적용한 것으로 거의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어 가스냉난방기 보급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도 가스냉방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전력난의 주요 원인을 전기 냉난방시스템(EHP)으로 보고 신축 건축물 허가 및 심의 시 전기 냉난방 시스템 설치를 지양하고 가스 냉난방시스템(GHP)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신축건물에 대한 심의를 강화해 줄 것을 각 구청에 요청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비용 지원도 좋지만 가스냉방을 하는 건물에는 냉방 온도규제를 완화하는 방법도 병행한다면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냉방온도 규제의 목표가 전력수급 안정에 있고 가스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도 적기 때문에 이런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