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는 농담을 진담처럼 잘 하셨다. 나른한 봄날이 슬그머니 여름으로 진입하면 입맛이 떨어지는 건 자연적인 이치다. 쌀 낱이 듬성듬성한 꽁보리밥을 먹다 말고 숟가락을 놓을라치면 "야야, 밥맛이 없으면 입맛으로 먹어야제 우째 반찬 타령만 하노"라고 말씀하셨다. 여름이 절정인 요즘 입맛이 없어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할 때마다 어머니의 오래된 농담이 생각나 혼자 키득키득 웃곤 한다.
가난했던 유년의 추억을 되새김질하듯 끄집어내어 잃어버린 입맛을 되돌려보려 애를 써 보지만 그게 잘 되지 않는다. 누적된 세월과 그새 간사스러워진 입맛이 와락와락 먹어치우던 옛 기억을 모두 잊어버린 탓이다.
열무김치 국물에 타래 국수를 삶아 먹어볼까, 얼음이 둥둥 떠 있는 물냉면을 사 먹을까, 대파 건더기가 푸짐한 개장국을 사 먹을까, 메밀국수를 겨자간장에 말아 먹으면 입맛이 돌아올까. 온갖 묘안을 다 짜내 본다. 그러나 사지선다형 문제지에 꼭 집어 동그라미를 칠 자신감이 나에겐 없다.
섬광 같은 생각, 나는 곧잘 꽉 막혀 있는 의식에 물꼬가 터질 때는 벼락을 맞는 것 같다. 그래, 바로 이거야. 입맛을 돌리는 데는 멍게만 한 것이 없다는데 왜 나는 하루 종일 끙끙 앓으면서 멍게를 기억해 내지 못했을까. 멍게는 내일 아침 어시장에 나가 사 오기로 하고 점심 요기는 찬물에 식은 밥 한 술을 말아 된장에 박아 둔 마늘종으로 때우기로 하자.
멍게는 바다 속의 꽃이다. 우선 붉은 색깔이 그렇고 바위 벼랑에 무리 지어 붙어 있는 멍게 군락의 품새가 장미 화원을 연상시킨다. 갑자기 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이란 시 한 구절이 생각난다. "꽃 사이에 술 한 병, 대작할 친구 없이 홀로 따른다. 술잔 들어 달님을 초대하고 달빛 아래 홀로 술을 마시네."
그때 마침 내 생각을 알아채기나 했는지 멍게 한 마리가 날숨을 쉬는 돌기에서 물거품을 푸 하고 내뿜는다. 꽃밭에 홀로 앉아 달과 벗하며 술잔을 기울이는 시성(詩聖)이나 멍게 밭을 유영하며 이백을 그리워하는 나 자신이나 맛이 가긴 간 모양이다.
멍게와 해삼, 그리고 해파리는 갯것들의 삼총사다. 나는 갯것들 중에서도 멍게를 제일 좋아한다. 그건 특유의 향과 식감 때문이다. 멍게를 칼질할 땐 돌기 부분을 먼저 잘라내야 한다. 끄집어 낸 알맹이를 반으로 잘라 입에 넣고 씹지 않은 상태에서 소주 한 잔을 털어 넣으면 소주와 멍게 맛이 서로 부둥켜안고 블루스를 추듯 빙글빙글 도는 바람에 입안은 바로 무도장이 되어 버린다.
해삼 전복 소라 등을 물회로 만들 땐 국수 썰듯 잘게 썰어야 하지만 횟감은 뭉텅뭉텅 썰어야 제 맛이 난다. 뭉텅 썬 것들을 오른쪽 어금니로 씹으면 금세 왼쪽으로 달아난다. 다시 왼쪽으로 씹어도 그 모양이다. 나는 이것을 '갯것들의 숨바꼭질'이라며 즐기고 있지만 이빨이 튼튼치 못한 이들에겐 권할 것이 못 된다.
멍게를 먹을 때 꼭 지켜야 할 수칙이 한 가지가 있다. 흔히 맨 처음 잘라낸 돌기에 손톱만큼 붙어 있는 살을 발라 먹겠다며 쫄쫄 빨아 먹는 경우가 있다. 그 돌기 속에 기생하고 있는 독충이 깜짝 놀라 물고 늘어지면 입술은 당나발처럼 퉁퉁 붓는다.
멍게로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지만 그건 요리연구가들의 솜씨 자랑일 뿐 별것 아니다. 내 경험을 털어놓으면 날것을 크게 썰어 소주 안주로 먹는 것이 장원, 잘게 썰어 온갖 푸성귀와 함께 깨소금과 참기름을 듬뿍 치고 비빈 멍게 비빔밥은 차상, 자연산 멍게를 잘 손질하여 천일염으로 한 며칠 숙성시킨 멍게 젓갈도 차상급에 버금간다. 멍게의 플라스마로겐이란 성분이 치매 예방에 효과가 크다는데 자주 먹으면 날로 심해지는 건망증에도 도움이 되려나 모르겠다.
몇 년 전인가, 멍게 젓갈을 담그겠다고 큼지막한 플라스틱 통 한 개씩을 들고 울진의 어느 바닷가에 간 적이 있다. 안내를 맡은 스쿠버숍 주인이 배 위에서 여러 대원이 작업한 멍게를 한데 모아 "오늘은 감시가 심해 뭍으로 가지고 나가지 못한다"며 물속에 던져 버린 적이 있다. 나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분하고 안타깝다. 시나 한 편 읽고 분을 삭이자.
"방어진 몽돌밭에 앉아/ 술안주로 멍게를 청했더니/ 파도가 어루만진 몽돌처럼 둥실둥실한 아낙 하나/ 바다를 향해 손나팔을 분다/ 멍기 있나, 멍기-/ (중략) 한 잔 술에 미친 척 나도 문득 즉석에서/ 멍기 있나, 멍기-/ 수평선 너머를 향해/ 가슴에 멍이 든 이름 하나 소리쳐 불러보고 싶었다."(손택수의 시 '방어진 해녀' 중에서)
수필가 9hwal@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싱가포르 비자금 1조" 전한길 주장에 박지원 "보수 대통령들은 천문학적 비자금, DJ·盧·文·李는 없어"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