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가 세긴 세다. 노태우'전두환 두 전직 대통령의 추징금 징수를 두고 나오는 이야기다. 지난 4일 노 전 대통령 측이 미납 추징금 230억 원을 자진 납부하더니 전 전 대통령 측도 어제 미납 추징금 1천672억 원을 모두 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1997년 대법원이 최종 선고를 내린 지 16년, 돈 없다고 버티던 전직 대통령들이 수백억~수천억 원에 이르는 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도 해내지 못한 것을 박근혜정부가 출범 6개월여 만에 뚝딱 해치웠다. 역시 박근혜정부라는 말이 나올 만하다.
전 전 대통령 측의 추징금 납부 약속을 두고 과연 자진 납부냐는 논란이 뜨겁다. 올해 초까지 '가진 돈이 없다'며 버티던 전 전 대통령이다. 반전의 계기가 된 것은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이었다. 이 법은 새로 만든 법이 아니라 있던 법을 개정한 것이다. 명칭은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이다. 전직 대통령의 추징금 징수를 위해 법을 고치다 보니 전두환 추징법이란 별칭이 붙었다. 법 개정 이유도 "전직 대통령이 거액의 추징금을 미납하고 있고 그 친족에게 이전한 불법 재산, 혼합 재산에 대하여는 몰수'추징도 곤란하다. 대한민국의 최고위층의 도덕성을 제고하고 불법 재산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몰수'추징 제도를 개선하려고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법으로 전두환 추징금 환수 시효는 2020년으로 늘어났고 자녀들의 재산에 대한 추징도 가능해졌다. 검찰이 전 전 대통령 일가의 집과 회사를 압수 수색하고 재산을 압류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됐다.
검찰이 전담팀을 꾸린 지 110일, 전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한 압수 수색을 벌인 지 50여 일 만에 전 전 대통령 측은 백기 투항했다. 그러니 전 전 대통령의 추징금 납부 약속을 자진 납부라고 보기는 뒷맛이 남는다.
전두환 추징금 징수는 과거 청산에서 나아가 미래를 위한 포석이다. 전 전 대통령이 추징금을 완납하더라도 정부가 못 거둔 추징금은 25조 원을 넘는다. 고액 추징금 미납자의 면면을 보면 재벌들이 많다. 이들 역시 호의호식하면서 재산이 없다고 버티고 있다. 정부가 전두환 추징법에 이어 범죄 수익 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공무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추징금 징수가 수월해지게 됐다. 우리 사회는 아직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강제가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