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이전을 1년여 앞두고 도청 이전 신도시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안동과 예천의 행정통합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 말 이전한 충남도청 내포신도시가 벌써부터 '한지붕 두 살림'의 부작용이 드러나는 사례에서 보듯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경북 북부지역의 균형발전과 지역 간 고른 성장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관계기사 3면
전남'충남도청 이전과 신도시 조성은 모두가 균형발전과 지역 간 고른 성장이 목적이었다. 경북도청 이전도 이 같은 당위성으로 대표적 낙후지역인 북부지역 안동과 예천 이전이 결정됐다.
하지만 도청이 이전돼 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는 전남 남악신도시와 충남 내포신도시의 현재 모습은 지역 간 고른 성장을 통한 통합과 화합, 상생보다는 갈등과 견제 등 지역 간 갈라서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행정 통합에 대한 지역 간 명칭과 주도권을 둘러싼 힘겨루기가 오랜 이웃지역을 등 돌리게 해놓고, 미래 비전을 이끌 신도시를 둘러싸고는 역사와 상징성 등 과거에 얽매인 논리로 갈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살림살이는 갈라지고, 각종 공과금과 대중교통 등에 따른 주민들의 혼란과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심지어 신도시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개발 이익금을 둘러싼 논란까지 발생하는 등 두 집 살림살이에 따른 갈등이 신도시 정착을 방해하고 있다.
내년 말 경북도청 신청사가 완공되고 나면 본격적으로 도청에 이어 교육청과 경찰청 등 공공기관들이 2016년까지 속속 이전할 계획이다. 이들 대형 공공기관들은 대부분 안동지역에 새둥지를 튼다.
공동유치에서 개발계획까지 손발을 척척 맞춰온 안동'예천 두 지역이 행정통합에 대해서는 서로 '쉬쉬'하는데 대해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남발전연구원 조상필 박사는 "남악신도시 행정구역 미통합으로 관리 이원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원화는 행정낭비, 주민의 불편초래, 지역경쟁력 저하, 지역발전 중심성 결여 문제를 동반한다"며 "주민 자발적 행정구역 통합 노력이 절실하다. 주민편의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 박사는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행정구역 이원화 문제는 해결돼야 할 선결 조건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차원의 자연스러운 통합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
김휘동 전 안동시장도 최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안동과 예천의 통합 문제, 통합과 현상유지 등에 대한 장단점을 따져 봐야 할 때"라며 사실상 안동'예천 행정통합 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전 시장은 "20년 후,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하고 조언하면서 "신도청 소재지가 세종특별시처럼 별도의 신도시를 설치하는 경우와 안동'예천 통합, 현 상태 유지 등 3가지 유형에 대한 대응책을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호 경북도의원은 안동'예천 행정통합 문제를 제기하면서 "도청 신도시의 행정서비스 통합공급 대책수립이 긴요하다"며 "이를 위해 '자치단체조합' 설립문제를 냉철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희대기자 hdlee@msnet.co.kr 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권오석기자 stone5@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