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대구 학교 교직원 전체가 개인별로 부여된 전화번호를 사용하게 된다.
시교육청은 최근 사업자 공모를 통해 선정된 SK브로드밴드㈜와 협약을 맺고 ▷교육기관 인터넷 속도 개선 및 보안성 강화 등 운영 시스템 고도화 ▷전 교직원에게 개인별 전화번호를 부여하는 1인 1전화 시스템 구축 등에 합의했다. 시교육청은 인터넷과 전화 사용 요금만 내면 되고 시스템 구축 비용은 사업자가 부담하기로 했다.
현재 각 학교는 공용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이번 협약으로 내년부터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을 적용, 각 학교 등 산하 465개 기관 3만여 명의 교직원이 개인별로 부여된 전화번호를 사용하게 된다. 국 번호는 231~235까지가 될 전망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직원들이 업무를 진행하기가 더 편해질 뿐 아니라 학부모 등 문의 사항이 있는 이들도 해당 교직원 직통 전화를 알게 되면 보다 빨리 일을 처리할 수 있고 학교에서 누가 전화를 걸어왔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김현지 국감 출석' 여야 공방…"진실 밝혀야" vs "발목잡기"
'캄보디아 납치' 인도는 1천명 구출, 한국은 뒷북만